에스프레소의 특성은?
에스프레소는 가용성 고형성분 및 불용성 커피 오일이 추출되어 추출액에 함유되어 있어 이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추출된 커피나 순수한 물과 비교했을 때 특성들이 다른 차이를 보이게 된다.
- 밀도 (Density)
에스프레소 밀도는 대충 1.02 정도야. 순수한 물이 1.0인데 거의 비슷하지. 그 이유는 에스프레소 안에 있는 오일이 물보다 밀도가 낮아서 전체 밀도를 낮추기 때문이야. - 점도 (Viscosity)
에스프레소는 바디감이 있어서 점도가 물보다 훨씬 높아. 물의 점도는 30℃에서 0.61(mPa·s)이야. 근데 에스프레소는 바디감에 따라 Low-body는 1.51, High-body는 2.01까지 올라가. - 굴절률 (Refractive index)
빛이 물질을 통과하면 속도가 달라지면서 꺾이잖아? 이걸 굴절이라고 해. 순수한 물의 굴절률은 1.333인데, 에스프레소는 1.338에서 1.342 정도야. 조금 더 크지. - 표면 장력 (Surface tension)
물은 표면 장력이 73x10³ N/m(20℃) 정도인데, 에스프레소는 46x10³ N/m 정도로 더 낮아. 계면활성제 같은 성분들 때문에 그런 거야. - 총 고형성분 (Total solids)
에스프레소는 농도가 진한 편이야. 커피의 양, 추출 방식, 로스팅 정도, 물 온도 등에 따라 달라지는데, 일반적으로 에스프레소가 고형 성분이 제일 많아. - 지질 (Lipids)
에스프레소에 들어있는 지방은 1ml당 2.5mg 정도야. 아라비카 커피는 로부스타보다 2배 넘게 많아서 맛이 더 풍부해. - 산 (Acid)
에스프레소에는 아세트산, 포름산, 말산, 젖산 같은 다양한 산이 있어. pH는 5.2~5.8 사이로 약산성이야.
'커피품질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커피에서 밀도가 중요한 이유 (feat.밀도계를 구매한 이유) (0) | 2025.04.22 |
---|---|
제약회사 QbD 시스템을 커피팜에 약식으로나마 적용하는 날이 오지 않을까? (1) | 2025.04.04 |
[커피 논문]배전조건이 아라비카 커피의 이화학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 (1) | 2025.02.28 |
커피 품질관리 논문 이화학적 검사 객관적인 실험을 통한 기준 마련 참고 (1) | 2025.02.28 |
커피 품질관리 분석기기들 (3) | 2025.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