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 품질관리 전문가의 노하우로 완성한 차별화된 경험, 큐씨랩

제약회사 품질관리팀에서 쌓은 경험을 바탕으로 독창적인 브랜딩과 체계적인 품질관리를 통해 기존의 틀을 넘어서는 새로운 커피 문화를 만들어가고 있다.

Why we began this journey... What is identity? 자세히보기

품질관리(Quality Control)/커피

커피에서 밀도가 중요한 이유 (feat.밀도계를 구매한 이유)

QC LAB 2025. 4. 22. 11:53
반응형

 

밀도가 중요한 이유:

맛의 균형:

밀도는 커피의 다양한 성분이 물에 얼마나 잘 녹아들게 되는지를 결정합니다적절한 밀도는 커피의 신맛, 단맛, 바디감 등 다양한 맛의 요소들을 조화롭게 만들어 줍니다.

크레마 형성:

에스프레소 상부에 나타나는 크레마는 커피의 맛과 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적절한 밀도는 크레마가 풍성하고 안정적으로 형성되도록 도와 줍니다.

커피의 풍미:

밀도가 적절하면 커피의 본연적인 풍미와 향을 잘 느낄 수 있습니다밀도가 너무 높거나 낮으면 커피의 특정 맛이나 향이 과도하게 강조되거나 사라질 수 있습니다.

 

 

에스프레소 밀도를 조절하는 방법:

분쇄도:

원두를 분쇄할 때 너무 곱게 갈면 밀도가 높아지고, 너무 굵게 갈면 밀도가 낮아집니다.

탬핑:

탬핑은 분쇄된 원두를 밀착시키는 과정으로, 탬핑 세기를 조절하여 밀도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커피량:

추출에 사용하는 커피 양을 조절하여 밀도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그라인더:

그라인더의 상태와 설정에 따라 분쇄된 커피 입자의 크기와 밀도가 달라집니다.

원두:

원두의 종류, 배전도, 저장 상태에 따라 밀도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액체 밀도는

액체의 질량을 부피로 나누어 계산합니다, 질량(g)을 부피(mL)로 나누면 밀도(g/mL)를 얻을 수 있습니다이를 위해 질량과 부피를 정확하게 측정해야 합니다

 

액체 밀도 측정 방법에는 비커를 사용하여 측정 또는 비중병을 사용한다. 제약회사에서는 비중병을 사용한다.

1. 질량 측정:

액체를 담을 용기(: 비커)의 질량을 먼저 측정합니다

2. 부피 측정:

액체를 용기에 넣고 눈금 실린더 등을 이용하여 액체의 부피를 측정합니다

3. 액체 질량 계산:

용기와 액체의 질량에서 용기 질량을 빼 액체만의 질량을 구합니다

4. 밀도 계산:

질량을 부피로 나누어 밀도를 계산합니다

 

밀도를 측정할 때 중요 포인트는 온도이다. 온도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니 일정한 온도에서 측정해야 한다.

 

대부분 수동으로 밀도를 측정하지만 번거로움을 줄여줄 수 있는 분석기기가 밀도계다.

밀도계는 여러 브랜드에서 제조하고 있으며, 실험실용으로는 Anton Paar, Mettler Toledo, Ohaus 이 있다.

주요 브랜드 및 특징:

Anton Paar:

세계 최초 디지털 밀도계 개발사로, 혁신적인 기술과 정밀한 측정으로 유명합니다

Mettler Toledo:

다양한 종류의 밀도계를 제공하며, 특히 실험실용 밀도계에서 높은 신뢰성을 자랑합니다

Ohaus:

고정밀 분석 저울과 함께, 비교적 합리적인 가격의 밀도계를 제공합니다

 

안톤파(Anton Paar)는 밀도계, 굴절계가 유명한 회사다. 커피팜 QC LAB은 더 타이트한 커피의 품질관리를 위해 안톤파 밀도계 DMA500을 구입하기로 결정했다.

 

 

 

  • 밀도는 단순히 ‘많이 담는 것’이 아니라, 균일하고 적절하게 담는 기술입니다.
  • 이상적인 밀도는 물이 고르게 커피를 통과하게 하여 밸런스 좋은 추출을 가능하게 합니다.
  • 밀도 조절은 바리스타의 추출 능력에서 가장 정밀한 부분 중 하나입니다.

 

액상(에스프레소) 밀도 측정

장비: 액체 밀도계 (디지털 피크노미터 또는 하이드로미터), 굴절계(TDS 측정)
절차:

  1. 동일한 조건에서 밀도만 조절하여 여러 컵 추출
  2. 각 컵의 액체 밀도 측정 (g/cm³)
  3. 컵마다 TDS, 추출 시간, 관능 평가 기록
  4. 밀도와 관능 품질 간 상관관계 분석

진한 커피일수록 일반적으로 밀도가 높고 TDS도 높음

물의 밀도는?? 인터넷에는 1이라는?? ㅋㅋㅋ 정확히 말하자... 1 ? 맞아? 

. 물의 밀도
온도 ℃ 밀도 g/mL 온도 ℃ 밀도 g/mL 온도 ℃ 밀도 g/mL 온도 ℃ 밀도 g/mL
0 0.99984 10 0.99970 20 0.99820 30 0.99565
1 0.99990 11 0.99961 21 0.99799 31 0.99534
2 0.99994 12 0.99950 22 0.99777 32 0.99503
3 0.99996 13 0.99938 23 0.99754 33 0.99470
4 0.99997 14 0.99924 24 0.99730 34 0.99437
5 0.99996 15 0.99910 25 0.99704 35 0.99403
6 0.99994 16 0.99894 26 0.99678 36 0.99368
7 0.99990 17 0.99877 27 0.99651 37 0.99333
8 0.99985 18 0.99860 28 0.99623 38 0.99297
9 0.99978 19 0.99841 29 0.99594 39 0.99259
10 0.99970 20 0.99820 30 0.99565 40 0.99222

 

 

예상 결과 및 분석 포인트

조건추출 밀도TDS맛
낮은 도징, 약한 탬핑 낮음 6–7% 묽고 산미 위주
적절 도징, 균일 탬핑 중간 8–10% 밸런스 좋음
높은 도징, 과도한 압축 높음 11–13% 떫고 쓴맛 많음
 
  • 밀도계 데이터를 기반으로 최적 도징·탬핑 조합을 찾을 수 있음
  • 물리적 밀도와 TDS/Brix값을 함께 기록하면 정량적 품질 관리 가능

 

에스프레소는 일반 물보다 미세하게 밀도가 높습니다. 이유는 커피 고형물(TDS)과 오일 성분이 다량 포함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구분밀도 (20°C 기준)
순수 물 1.000 g/cm³
라이트 에스프레소 (TDS 6~8%) 1.010 ~ 1.020 g/cm³
정상 에스프레소 (TDS 8~11%) 1.020 ~ 1.030 g/cm³
리스트레토 (짧고 진한 추출) 1.035 ~ 1.045 g/cm³
룽고 (길고 묽은 추출) 1.005 ~ 1.015 g/cm³
  • TDS 1% 증가 시 밀도는 약 0.001 g/cm³ 증가
  • 굴절계(Brix)로도 추정 가능: Brix 10 ≈ 밀도 1.04 g/cm³ 정도

 

위 그래프는 Brix (또는 TDS) 수치에 따라 에스프레소의 밀도(g/cm³)가 어떻게 증가하는지를 나타냅니다. 일반적으로 Brix 6~13% 범위에서 밀도는 1.006 ~ 1.013 g/cm³ 수준까지 선형적으로 증가합니다. 리스트레토나 고농축 에스프레소는 Brix가 높고 밀도도 커서 진한 맛을 냅니다. 반면 룽고나 희석된 커피는 밀도가 낮고 더 묽은 느낌을 줍니다. 이 데이터를 바탕으로 실험 시 음료의 체감 농도와 실제 물리적 밀도를 비교하면, 관능 평가와 과학적 측정이 일치하는지 검증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