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회사 품질관리(QC) 실험실 실무지식 무료나눔 | QCLAB 제약회사 품질관리팀에서 쌓은 경험을 바탕으로, 체계적인 품질관리와 독창적인 브랜딩을 결합해 기존의 틀을 넘어서는 새로운 형태의 블로그 운영
Why we began this journey... What is identity? 자세히보기

품질관리(Quality Control)/오염관리전략(CCS)

오염 관리 전략(Contamination Control Strategy, CCS) 한미약품 예시

QC LAB 2025. 10. 25. 09:48
반응형

1. 개요

오염 관리 전략(Contamination Control Strategy, CCS)은 무균 제조 및 청정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미생물, 엔도톡신, 미립자 등의 오염 요소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품질 보증 전략이다.
CCS는 공정의 이해(Process Understanding)와 위험 관리(Quality Risk Management)를 기반으로 수립되며, 제품의 품질 일관성과 환자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전사적 차원에서 운영된다.

이 전략은 공정 전반에 걸친 오염원 발생 가능성의 식별, 예방, 완화 조치를 포함하며, 단순한 SOP 수준이 아닌 품질 시스템(PQS)의 핵심 구성 요소로서 기능한다.

2. CCS의 구성 요소

CCS는 다음 세 가지 핵심 영역을 중심으로 구축된다.

  1. 미생물 관리(Microbial Control)
    • 제조 환경 및 공정 내 미생물 오염 방지를 위한 모니터링, 청정도 관리, 살균 절차를 포함한다.
    • 공기, 표면, 작업자, 원자재 등 모든 오염 경로를 정량적으로 평가한다.
  2. 엔도톡신 및 발열성 물질 관리(Pyrogen/Endotoxin Control)
    • 세균성 내독소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원자재, 장비, 용수 시스템에 대한 관리 기준을 설정한다.
    • 주사용제, 무균제제 등 고위험 제품에 대해 LAL 시험 등 검증 절차를 적용한다.
  3. 미립자 관리(Particle Control)
    • 무균 공정 중 발생 가능한 입자 오염을 최소화하기 위한 청정도 등급 관리, HEPA 필터 검증, LAF 점검을 포함한다.
    • Class 구역별 허용 입자수 기준에 따라 환경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3. CCS의 중요성

오염은 제품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근본적으로 훼손할 수 있는 주요 리스크다.
CCS는 GMP Annex 1(2020, EU 기준)에 따라 오염 방지의 전 생명주기 관리 체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그 중요성은 다음과 같다.

  • 무균 제품의 품질 일관성 확보
  • 규제기관의 감사 대응 및 GMP 준수 보장
  • 공정 신뢰성 확보 및 배치 불량 최소화
  • 고객 및 환자 신뢰 유지

 

SINCE 2016 COFFEEPHARM

4. CCS 작성 및 적용 단계

Step 1: CCS 초안 수립

  • GAP 분석: 현행 Bioburden 관리 절차와 Annex 1의 요구사항 간 차이를 확인한다.
  • 문서 분류 및 범위 설정: SOP, Validation, Risk Assessment, Cleaning Procedure 등 관련 문서를 Category별로 분류한다.
  • 관리 전략 수립: QRM, PQS 원칙에 따라 각 Category별 오염 관리 목표를 정의하고 실행 전략을 설정한다.
  • CCS 제정: Version 1.0으로 발행 후 관련 부서(생산, QC, QA)의 검토를 거쳐 공표한다.

Step 2: 적용 및 통합

  • CCS를 실제 운영 절차(SOP) 및 Validation 계획에 반영한다.
  • 실행 단계에서 얻은 데이터(EM 결과, CAPA, Audit Finding 등)를 기반으로 개선 영역을 도출한다.
  • 운영 절차 간 일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정기 Review 및 Revision Cycle을 설정한다.

 

반응형

5. GAP 분석 및 개선 방향

목적
기존 한미 Bioburden 관리 절차와 CCS 프레임워크 간의 차이를 식별하여, 오염 관리의 사각지대를 제거하고 문서화를 일원화한다.

주요 분석 항목

  • 절차 간 상호 연계성 부족 여부
  • 공정별 오염원 평가 방법의 차이
  • EM, PM, Cleaning Validation 결과의 Feedback 체계
  • 관련 문서(SOP, Validation Report, RA)의 최신성 및 일관성

개선 조치

  • 문서 업데이트: 최신 Annex 1 및 WHO TRS 기준 반영
  • 절차 명확화: 공정별 미생물 한계치 및 대응 시점 정의
  • 위험 기반 접근(QRM) 강화: Critical Control Point 설정

6. Bioburden Control Strategy(BCS)의 확대 적용

개념
Bioburden 관리는 무균 공정 이전 단계에서의 미생물 부하량을 관리하기 위한 전략으로, CCS의 하위 구성 요소 중 하나이다.

현재 문제점

  • Bioburden 관리 절차가 단편화되어 부서 간 접근이 상이함
  • 공정 흐름에 따른 관리 포인트(Pre-Sterile, Post-Cleaning 등)가 불명확

향후 방향

  • Bioburden 관리 절차를 CCS Framework에 통합하여, 공정 전반에 걸친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
  • Risk Map 기반 관리로 각 제품군별 Critical Zone을 정의

 

 

SINCE 2025 QCLAB

 

7. 유틸리티 및 장비 관리 전략

유틸리티 관리

  • 제조용수, 압축공기, HVAC 등 Utility System의 오염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한 주기적 검증 및 샘플링 수행
  • TOC, Conductivity, Microbial limit test 결과를 기반으로 트렌드 관리

장비 관리

  • Cleaning Validation 및 Preventive Maintenance를 통해 오염 재발 방지
  • 사용 전후 Cleaning SOP 준수 여부를 점검하고, 기록 관리(Audit Trail) 유지

8. 작업자 및 출입 관리

작업자 위생 관리

  • 손 위생, 개인 위생 습관, 복장 착용 절차 등 기본 행동 기준을 정의
  • 청정구역 진입 전 교육 및 인증 절차를 의무화

Gowning Requirement

  • 청정 등급별 보호복 착용 기준을 문서화하고, 오염 방지 Flow를 설정
  • 교육 이수 후 정기 재평가 실시

 

 

CCS case study 한미약품.pdf
2.75MB

 

 

9. 문서 및 품질 시스템(QRM, PQS) 운영

문서 관리

  • CCS 관련 문서를 주기적으로 Review하여 정확성, 일관성, 최신성을 유지
  • Revision 이력 관리 및 변경관리(Change Control) 절차에 따라 갱신

품질 시스템 연계

  • QRM을 통한 위험 예측 및 완화
  • PQS 기반 성과 모니터링으로 지속 개선 수행
  • 교육 및 CAPA 활동을 통해 조직 전반의 품질 인식 제고

10. 결론

오염 관리 전략(CCS)은 단순한 규제 대응이 아니라 공정의 과학적 이해와 위험 관리 기반의 품질 문화 구축을 의미한다.
GMP Annex 1의 핵심은 시스템이 아닌 사고방식의 전환이며, 이를 위해 각 부서는 자신이 관리하는 구역과 절차가 전체 품질 시스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명확히 이해해야 한다.
CCS의 정착은 결국 환자 안전을 향한 가장 직접적이고 근본적인 보증 수단이며, 조직의 품질 수준을 가늠하는 핵심 지표가 된다.

 

 

2025.06.03 - [COFFEEPHARM QCLAB ] - About Us

 

About Us

커피 한 잔에도 믿음이 필요하다고 느낀 적 있는가. 예쁜 카페, 감성적인 분위기, 고급 원두라는 말은 흔하다. 하지만 정말 이 커피가 어디서, 어떻게 만들어졌고, 내가 마신 이 맛이 다음에 와도

qclab.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