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세트산 계열 용어 정리: 무수초산, 아세트산 무수물, 아세트산 탈수물, 무수 아세트산, 빙초산, 초산, 식초
화학 실험을 해본 사람이라면 아세트산 계열 용어의 혼란을 경험했을 것이다. 인터넷에서도 정확하게 정의된 글을 찾기 어렵다. 이 글에서는 혼동 없이 최종적으로 정리한다.
핵심 포인트
- 아세트산 = 아세트산 무수물(빙초산)
- 단순히 물 함량/순도 차이로 구분
- 화학식(CH₃COOH), 구조, 성질 동일
- 아세트산 탈수물 ≠ 아세트산
- 아세트산에서 물 한 분자가 제거되어 새로 생성된 화합물
- 화학식: CH₃COOH → (CH₃CO)₂O
- 성질과 용도 완전히 다름
- 혼동의 핵심은 한글 번역 문제
- ‘무수 아세트산’이라는 표현이 빙초산과 아세트산 무수물(탈수물) 사이 혼동을 유발
아세트산 계열 세부 설명
1. 아세트산 (Acetic acid, CH₃COOH)
- 식초의 주성분, 액체 상태의 단순 카복실산
- 순도와 상관없이 그냥 “아세트산”이라 부름
2. 아세트산 무수물 / 빙초산 (Glacial acetic acid, CH₃COOH)
- 순도 99~100%의 아세트산
- 화학식과 구조는 아세트산과 동일
- ‘빙초산’이라는 명칭은 상온에서 얼음 같은 결정이 생기는 특징에서 유래
- 물이 거의 없는 상태를 의미
F.W. 60.052
CAS No. 64-19-7
3. 아세트산 탈수물 (Acetic anhydride, (CH₃CO)₂O)
- 아세트산 2분자가 물 한 분자를 잃고 결합하여 형성
- 화학식과 구조가 완전히 다름
- 성질과 용도도 다름 (아세틸화, 아스피린 합성 등)
- “탈수물”이라는 이름은 아세트산에서 물이 제거되었음을 정확히 반영
F.W. 102.09
CAS No. 108-24-7
아세트산 무수물과 ‘무수 아세트산’의 차이
- 두 용어는 다른 물질을 의미하며, 철저히 구분해야 함
- ‘무수’라는 표현 때문에 과거 화학 전공자들이 혼동하게 됨
- 핵심 문제: ‘anhydrous acetic acid’를 직역하여 ‘무수 아세트산’으로 표기
- 잘못된 번역: “빙초산은 무수 아세트산의 이름이다”
- 올바른 번역: “빙초산은 수분 함량이 적은 고순도(high-purity) 아세트산을 가리킨다”
- 순수 아세트산을 표현할 때는 ‘고순도 아세트산’ 또는 ‘순수 아세트산’ 사용 권장
최종 결론
아세트산 | CH₃COOH | 일반 아세트산, 식초 성분 |
아세트산 무수물 / 빙초산 | CH₃COOH | 고순도 아세트산, 물 거의 없음 |
아세트산 탈수물 | (CH₃CO)₂O | 아세트산 2분자가 물 제거 후 형성, 완전히 다른 화합물 |
- 아세트산과 아세트산 무수물은 같은 물질, 단지 순도 차이
- 아세트산 탈수물은 완전히 다른 화합물
- ‘무수 아세트산’이라는 표현은 번역 문제로 혼동 가능성 존재
- 순수 아세트산을 지칭할 때는 고순도/순수 아세트산 등 anhydride와 혼동되지 않는 용어 사용
대한민국약전 11개정에 따른 자주묻는 질의응답집 [FAQ]
Q. 아세트산무수물(Glacial Acetic Acid, CH3COOH) 은 지식백과 등에서 아세트산무수물은 흔히 무수초산(actic anhydride, (CH3CO)2O)을 뜻함. 약전에 빙초산이라는 언급이 있긴 하나, 명확하지 않아서 혼란을 야기합니다.
A. 대한민국약전에서 의약품각조의 Glacial acetic acid[64-19-7]는 아세트산무수물로 되어 있으며, 시약시액항에서는 아세트산(100)으로 표기하고 있습니다. Glacial acetic acid와 Acetic anhydrous는 동일합니다. Acetic anhydride[108-24-7]는 대한민국약전에 의약품각조는 수재되지 않았으며, 시약시액항에서는 아세트산탈수물로 표기하고 있습니다.
2025.06.03 - [COFFEEPHARM QCLAB ] - About Us
About Us
커피 한 잔에도 믿음이 필요하다고 느낀 적 있는가. 예쁜 카페, 감성적인 분위기, 고급 원두라는 말은 흔하다. 하지만 정말 이 커피가 어디서, 어떻게 만들어졌고, 내가 마신 이 맛이 다음에 와도
qclab.kr
'품질관리(Quality Control) > 이화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USP <1207>은 멸균 의약품의 포장 무결성을 검증하기 위한 가장 중심적인 기준 기밀도 Feat. USP 1207 pdf 파일 공유 (2) | 2025.09.29 |
---|---|
85% KOH로 1 M 용액 500 mL 만들기 (0) | 2025.09.28 |
산화수 구하는 규칙 정리 (1) | 2025.09.27 |
pH 표준용액 사용기한 설정 방법 (2) | 2025.09.25 |
자재 재밀봉성 시험과 완제품 기밀도 시험의 차이 Feat. 기밀도 시험 종결 (1) | 2025.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