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산화수 규칙 정리
- 자유 원소 상태의 산화수는 0
- 혼자 존재하거나 같은 원소끼리만 결합한 상태에서는 산화수를 0으로 둔다.
- 예: H₂, O₂, O₃, N₂, Cl₂, Na(s), Mg(s) 모두 각각 원자의 산화수 = 0.
- 단원자 이온의 산화수는 전하와 같다
- 이온 상태일 때 산화수는 이온이 가진 전하와 동일하다.
- 예: Na⁺ → +1, Ca²⁺ → +2, Cl⁻ → –1, S²⁻ → –2.
- 수소(H)의 산화수는 보통 +1
- 예외적으로 금속 수소화물(MH₄⁻, NaH, CaH₂ 등)에서는 –1.
- 산소(O)의 산화수는 보통 –2
- 과산화물(H₂O₂, Na₂O₂ 등)에서는 –1,
- 플루오린과 결합한 OF₂에서는 +2.
- 할로겐(특히 F)의 산화수
- 플루오린(F)은 항상 –1.
- Cl, Br, I 등은 보통 –1이지만, 산소나 더 전기음성 큰 원소와 결합할 때는 양의 값도 가질 수 있음.
- 예: ClO⁻ (Cl은 +1), ClO₄⁻ (Cl은 +7).
- 알칼리 금속(1족 원소)은 항상 +1, 알칼리 토금속(2족 원소)은 항상 +2
- Li, Na, K, Rb, Cs → +1
- Be, Mg, Ca, Sr, Ba → +2
- 화합물 전체의 산화수 총합은 전하와 같다
- 중성 화합물에서는 산화수의 합이 0.
- 다원자 이온에서는 산화수의 합이 이온의 전하와 같다.
- 예: H₂O → H(+1)×2 + O(–2) = 0,
SO₄²⁻ → S(+6) + O(–2)×4 = –2.
2025.06.03 - [COFFEEPHARM QCLAB ] - About Us
About Us
커피 한 잔에도 믿음이 필요하다고 느낀 적 있는가. 예쁜 카페, 감성적인 분위기, 고급 원두라는 말은 흔하다. 하지만 정말 이 커피가 어디서, 어떻게 만들어졌고, 내가 마신 이 맛이 다음에 와도
qclab.kr
반응형
'품질관리(Quality Control) > 제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약회사 품질관리 취업을 원하는 취준생에게 왜? 힘든지? 현실적인 글 (2) | 2025.09.26 |
---|---|
pH 표준용액 사용기한 설정 방법 (2) | 2025.09.25 |
자재 재밀봉성 시험과 완제품 기밀도 시험의 차이 Feat. 기밀도 시험 종결 (1) | 2025.09.25 |
GMP 제약회사 원료 샘플링 방법 규정 리뷰 (2) | 2025.09.22 |
메탄올-물 혼합물의 밀도와 농도 (3) | 2025.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