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USP (United States Pharmacopeia)
USP 197 SPECTROSCOPIC IDENTIFICATION TESTS.pdf
0.19MB
시험법 번호:
- General Chapter <197> Infrared Spectroscopy
- 보조 지침: <854> Spectrophotometry and Light-Scattering
측정 범위:
- 3800–650 cm⁻¹ (단, 개별 모노그래프에서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특징 요약:
- 시료와 USP Reference Standard를 동일한 조건으로 측정하고 비교.
- 고체 상태의 형태(polymorphism) 차이에 따른 스펙트럼 불일치를 고려해야 함.
- 스펙트럼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시료와 표준품을 동일한 조건에서 재결정화 후 재측정.
- 이전에 저장된 Reference Spectrum을 사용할 경우, 최신 배치의 표준품과의 추적성(traceability) 확보 필요.
- 고체 측정 시에는 <197A>, <197K>, <197M> 등 특정 시료 준비법에 따라 구분.
- 기본적으로 정성적 비교를 통해 동일한 흡수 극대(maxima) 존재 여부로 확인한다.
2. EP (European Pharmacopoeia)
EP 2.2.24. Absorption spectrophotometry, infrared.pdf
0.19MB
시험법 번호:
- General Chapter 2.2.24 Absorption spectrophotometry, infrared
측정 범위:
- 4000–650 cm⁻¹ (단, 개별 모노그래프에 별도 규정이 있을 경우 그에 따름)
특징 요약:
- 시험 물질과 Ph. Eur. CRS(Reference Substance)의 스펙트럼을 동일 조건으로 비교.
- CRS의 스펙트럼은 즉시 사용하거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가능하되, 최신 배치와의 추적성 확보 필요.
- 고체 상태에서의 스펙트럼 차이는 결정형태(polymorphism) 차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동일 조건에서 재결정화 후 재측정 가능.
- 비교 방식은 세 가지로 제시됨:
- 시각적 비교(흡수 극대 위치 및 상대 강도 비교)
- 상관계수(correlation coefficient) 계산
- 케모메트릭(chemometric) 기법(Euclidean distance, Mahalanobis distance 등)
- 분석자는 사용한 비교 방식 및 허용 기준을 문서화해야 함.
3. JP (Japanese Pharmacopoeia)
JP 2.25 Infrared-Spectrophotometry.pdf
0.27MB
시험법 번호:
- General Chapter 2.25 Infrared Spectrophotometry (赤外吸収スペクトル法)
측정 범위:
- 4000–400 cm⁻¹ (단, 모노그래프에서 별도 조건이 있을 경우 예외)
특징 요약:
- 시료는 건조 조건이 지정되어 있을 경우 해당 조건에 따라 건조 후 측정.
- KBr, KCl, NaCl 등의 결정판(optical plate) 또는 디스크법(disk method), 반사법(diffuse reflectance method), 페이스트법(paste method) 등을 사용.
- HCl염 등의 경우, KCl을 사용하는 것이 원칙.
- 이중빔(Double-beam) 기기에서는 기준 셀을 레퍼런스 빔에, 단일빔(Single-beam)에서는 동일 광로에 배치하여 비교 측정.
- 파수 정밀도, 해상도 조건을 검증한 동일 기기 설정으로 측정.
- 대기 중 수분 및 CO₂ 흡수선을 보정할 수 있도록 배경 보정(backgound correction)을 권장.
4. 파수 범위 차이의 이유 요약
약전파수 범위 (cm⁻¹)주 사용 셀기준
USP | 3800–650 | 주로 NaCl 셀 | FT-IR 표준화된 practical range |
EP | 4000–650 | NaCl 또는 KBr 셀 | CRS 비교 기준 |
JP, KP | 4000–400 | KBr 디스크 기준 | 전통적 측정 범위 |
이 차이는 실험 장비의 검출기 감도, 셀 재질의 투과 한계, 각국 약전의 실무적 범위 설정 방식에서 비롯된다.
USP는 실제 장비에서 안정적인 감도를 확보할 수 있는 범위인 3800–650 cm⁻¹을 규정하며,
EP는 국제 기준에 맞춰 4000–650 cm⁻¹로 정리했고,
JP는 KBr 디스크를 기본으로 하기 때문에 400 cm⁻¹까지 확장해 놓은 형태다.
반응형
2025.06.03 - [COFFEEPHARM QCLAB ] - About Us
About Us
커피 한 잔에도 믿음이 필요하다고 느낀 적 있는가. 예쁜 카페, 감성적인 분위기, 고급 원두라는 말은 흔하다. 하지만 정말 이 커피가 어디서, 어떻게 만들어졌고, 내가 마신 이 맛이 다음에 와도
qclab.kr
반응형
'품질관리(Quality Control) > 이화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세트산 계열 용어 정리(종결): 무수초산, 아세트산 무수물, 아세트산 탈수물, 무수 아세트산, 빙초산, 초산, 식초 (1) | 2025.10.16 |
---|---|
USP <1207>은 멸균 의약품의 포장 무결성을 검증하기 위한 가장 중심적인 기준 기밀도 Feat. USP 1207 pdf 파일 공유 (2) | 2025.09.29 |
85% KOH로 1 M 용액 500 mL 만들기 (0) | 2025.09.28 |
산화수 구하는 규칙 정리 (1) | 2025.09.27 |
pH 표준용액 사용기한 설정 방법 (2) | 2025.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