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검체 채취의 주최 부서는 어떤 부서입니까?
검체 채취의 주최 부서는 품질관리(QC) 부서이다. QC가 채취 계획 수립, 샘플 번호 할당, 채취자 지정 및 기록 관리를 총괄하여 추적성과 독립성을 확보한다. - 검체 채취 방법에 대한 설정은 어떻게 하고 있습니까? (예: √n+1 방법)
검체 채취 방법은 시험 목적, 품목 특성, 규제 요구사항을 고려하여 샘플링 플랜으로 문서화한다. 통계적 표본추출법(예: √n+1, AQL 등) 중 적합한 방법을 선택하고 위험도 기반 품질위험평가(QRM)를 통해 예외조건을 정의한다. 원료의 전수 확인검사를 위해 입고된 전체 수량에서 샘플링을 진행한다. - 전용기 시험은 어떤 방법으로 진행하고 있습니까?
전용기 시험은 전용 장비로 규정된 경우 해당 장비의 클리닝 밸리데이션, 전용기록(사용 이력·세척 이력) 및 장비 적격성 기록을 확인한 뒤 실시한다. 전용기 여부에 따른 오염방지조치와 교차검증 절차를 명확히 한다. - 검체채취실은 별도로 마련되어 있습니까? 마련되어 있다면 청정등급은 어떻게 관리하고 있습니까?
검체채취실은 별도 공간으로 마련되어 있으며, 필요 청정등급은 시험 종류에 따라 정의한다. 예를 들어 미생물 시험용 채취는 지정된 등급(예: Grade C/D 혹은 사내 기준)에 따라 공조, HEPA 여과, 정기 입자 및 미생물 모니터링을 시행한다. - 검체채취실 및 외부 사이에 Interlock system을 설치하여 외부 오염을 막고 있습니까?
출입 시 교차오염 방지를 위해 Interlock(이중문) 또는 에어샤워/전실 시스템을 도입하여 외부 유입을 통제한다. Interlock 작동 로그를 유지하여 출입 이력 추적이 가능하도록 한다. - 검체 채취실 내에 클린부스가 설치되어 있다면 적격성평가는 완료되었습니까? 완료 일에 대해 기재 부탁 드립니다
클린부스 설치 시 IQ/OQ/PQ 적격성평가를 완료하며 평가일자는 적격성 기록 문서에 명시된다. (실제 날짜는 현장 문서에서 확인 필요; 문서상 기재일자를 근거로 보고) - 검체 채취실 내 칭량 저울이 있다면 해당 저울의 점검 주기는 어떻게 진행하고 있습니까? (예: 일일점검, 1년에 한번 외부 교정 등)
칭량저울은 일일 시각·영점 확인 등 사용 전 점검을 실시하고 연 1회 이상 공인 교정기관에서 교정을 수행한다. 사용 빈도나 중요도에 따라 내부 점검 주기를 단축할 수 있다. - 칭량용 저울은 프린터가 설치되어 칭량 시 출력이 가능합니까?
중요 데이터의 변조방지와 추적성을 위해 칭량저울에 프린터 또는 전자데이터 출력 기능을 연결하여 칭량값, 날짜·시간, 사용자 ID를 출력·보관하도록 한다. - 칭량을 하는 원료량의 범위 내에 저울 사용범위를 지정하고 있습니까?
저울별 사용 가능 범위(최소 정량 한계부터 최대 적재량까지)를 기준서에 정의하고, 칭량 시 해당 범위 내에서만 사용하도록 운영한다.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적절한 다른 저울을 사용한다. - 저울작업대는 진동을 방지할 수 있는 재질로 되어 있습니까?
저울작업대는 진동을 흡수하거나 분산시키는 재질(예: 진동흡수 패드, 고정형 테이블)을 사용하여 정밀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설계·설치한다. - 칭량을 위한 용기, 기구는 청결한 상태로 유지되고 있습니까? 다음의 여부도 기입 부탁 드립니다.
일회용 사용여부: 교차오염 위험이 큰 경우 일회용 용기를 우선 사용하며, 재사용 시 엄격한 세척·멸균 절차를 적용한다.
CHT 설정 여부: 필요 시 용기별 Cross-Handling Table(혹은 CHT 개념)을 두어 원료군 간 교차위험을 관리한다.
세척 절차 여부: 재사용 기구는 문서화된 세척·건조·검증 절차를 따르며 세척 이력을 기록한다. - 검체 채취실에서 한 사람이 칭량하고 다른 한 사람은 칭량 내용을 확인하고 있습니까?
중요 검체의 경우 이중검수 원칙을 적용하여 한 사람이 칭량하고 다른 사람이 수치·시료식별·라벨 부착을 확인하도록 운영한다. 이중검수는 기록에 서명으로 남긴다. - 검체 채취 후 또는 칭량 후 용기는 원 보관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까?
채취·칭량 후 용기는 원래의 보관조건(온도·습도·차광 등)을 유지하도록 라벨링 및 즉시 지정 보관구역으로 이송하여 보관 상태를 유지한다. - 원 용기는 동 원료의약품이 소진되기 전까지 동일한 용기에 보관하고 있습니까?
가능한 경우 동일 배치 원료는 원용기(원포장)에 보관하여 혼입 위험을 줄인다. 재충전이나 분할 보관 시에는 엄격한 라벨링과 배치추적을 유지한다. - 검체채취 또는 칭량 후 용기에는 샘플링 라벨이 부착되며 그 라벨에는 채취자 및 채취일에 대한 기입이 되어 있습니까?
모든 샘플 용기에는 샘플링 라벨을 부착하고 채취자명(또는 ID), 채취일시, 배치번호, 샘플ID 등 필수 정보를 기재하여 식별과 추적이 가능하게 한다. - 검체 채취실의 온도 및 습도의 관리 기준은 어떻게 설정하고 있습니까?
채취실의 환경기준은 시험 특성에 따라 정의되며, 일반적으로 온도 범위와 상대습도 범위를 설정하고 연속 모니터링 및 로그보관을 실시한다. 환경 이탈 발생 시 조치 절차를 명시한다. - 2개 이상의 원자재 등을 동시에 칭량하고 있습니까?
동시에 여러 원료를 한 작업대에서 칭량하는 경우 교차오염 위험이 있으므로 원칙적으로 별도 작업 또는 물리적 구분을 권장한다. 불가피한 동시 칭량 시에는 분리막·라벨·시간차 세척 등 엄격한 제어 조치를 적용한다. - 칭량 전과 칭량 후 원료를 구분하여 혼동되지 않도록 하고 있습니까? 구분 방법에 대한 간략한 설명 부탁 드립니다.
원료 구분은 라벨링, 색상 구분 표식, 전용 트레이 사용, 작업 순서표(예: 번호순 칭량), 실시간 확인자 서명 등 복수의 물리적·문서적 장치를 병행하여 혼동을 방지한다. - 검체 채취 후 채취일자, 채취자 등이 표시된 라벨을 부착하고 있습니까?
검체 채취 즉시 식별 라벨을 부착하며, 라벨에는 채취일시, 채취자 ID, 배치번호, 샘플ID 등이 포함되어 기록과 시험결과 연결이 가능하도록 한다. - 원자재에 한하여 축소시험을 실시하고 있습니까?
원자재에 대해 축소시험 적용은 사전 품질위험평가 및 통계적 근거에 기반하여 승인된 경우에 한해 허용한다. 예: 서로 다른 3개 배치 이상에서 전항목 시험 결과가 안정적으로 만족된 경우 다음 배치부터 필수항목 축소를 적용하되, 정기적으로(예: 6개월~12개월) 전체 시험을 수행하여 검증한다. 공급처 변경, 품질 이상, 클레임 발생 시 즉시 전체 시험으로 복귀한다.
반응형
2025.06.03 - [COFFEEPHARM QCLAB ] - About Us
About Us
커피 한 잔에도 믿음이 필요하다고 느낀 적 있는가. 예쁜 카페, 감성적인 분위기, 고급 원두라는 말은 흔하다. 하지만 정말 이 커피가 어디서, 어떻게 만들어졌고, 내가 마신 이 맛이 다음에 와도
qclab.kr
반응형
'품질관리(Quality Control) > 제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약회사 품질관리, 그 현실을 제대로 알기 위한 첫걸음 – QCLAB 취업 교육 자료 제작 중 (0) | 2025.10.10 |
---|---|
GMP 제약회사 미생물시험 관리 관련 실사 질문 및 답변 (0) | 2025.10.10 |
GMP 품질관리 기기 관리 및 DI 관련 실사 질문 및 답변 (2) | 2025.10.09 |
제약회사 품질관리 GMP 표준품 및 시약 관리 관련 6개 질문 및 답변 (1) | 2025.10.08 |
제약회사 품질관리 GMP 질문 실사 "검체 관리"편 (0) | 2025.1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