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화학적동등성시험 중 완충력 시험 예시
1) 검액 ex)50 mL 대한 초기 pH를 측정한다.
2) 0.01 M NaOH 2.5 mL를 넣어 혼합한다.
3) pH를 측정하여 계산식에 따라 완충용량을 계산한다.
0.01 M NaOH 2.5 mL 의미
우선 0.01 M이라는 농도는 1 L 안에 0.01 mol의 NaOH가 들어 있다는 의미다.
그래서 사용한 부피를 먼저 L 단위로 바꾸는 과정이 필요하다.
2.5 mL는 0.0025 L가 되고 이 값을 농도와 곱하면 실제로 포함된 몰 수가 계산된다.
계산 결과는 2.5 × 10⁻⁵ mol이며, 이는 0.000025 mol을 뜻한다.
수산화나트륨 분자량은 40 g/mol로 알려져 있다. 1 mol이 40 g 이라는 기준을 그대로 적용해 2.5 × 10⁻⁵ mol을 질량으로 바꾸면 0.001 g이 된다.
실험실 작업에서 더 자주 사용하는 단위로 바꾸면 1 mg 정도이며, 미량 적정이나 표준화 작업에서 흔히 다루는 수준이다.
결론적으로 0.01 M NaOH 용액 2.5 mL에는 약 0.001 g, 즉 대략 1 mg 정도의 NaOH가 포함되어 있다.
예시로 pH 변화량이 1.5라고 치자. 그러면 계산은
0.001 (g 당량) / 0.05 (L) / 1.5 (pH 변화량) = 0.013

반응형
'품질관리(Quality Control) > 이화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열분석법을 활용한 의약품 품질관리의 실전적 접근 (1) | 2025.11.11 |
|---|---|
| 정량분석 중 적정 종말점 검출법 품질관리 실무 가이드 (0) | 2025.11.10 |
| USP 통칙 Dried, Anhydrous, Ignited, or Solvent-Free Basis (4) | 2025.10.30 |
| 건조물(dry basis)과 무수물(anhydrous basis)의 정량 계산 차이 As is 품질관리 실무 종결 (0) | 2025.10.29 |
| 폴리소르베이트80 지방산 성분함량비 실무 대한민국약전 (KP) 시험법 (1) | 2025.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