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회사 품질관리(QC) 실험실 실무지식 무료나눔 | QCLAB 제약회사 품질관리팀에서 쌓은 경험을 바탕으로, 체계적인 품질관리와 독창적인 브랜딩을 결합해 기존의 틀을 넘어서는 새로운 형태의 블로그 운영
Why we began this journey... What is identity? 자세히보기

품질관리(Quality Control)/이화학

이동시험 완충력 시험 과정 및 실무 계산 예시

QC LAB 2025. 11. 19. 15:04
반응형

 

 

이화학적동등성시험 중 완충력 시험 예시
1) 검액 ex)50 mL 대한 초기 pH를 측정한다.
2) 0.01 M NaOH 2.5 mL를 넣어 혼합한다. 

3) pH를 측정하여 계산식에 따라 완충용량을 계산한다.

 

0.01 M NaOH 2.5 mL 의미

우선 0.01 M이라는 농도는 1 L 안에 0.01 mol의 NaOH가 들어 있다는 의미다.

그래서 사용한 부피를 먼저 L 단위로 바꾸는 과정이 필요하다.

2.5 mL는 0.0025 L가 되고 이 값을 농도와 곱하면 실제로 포함된 몰 수가 계산된다.

계산 결과는 2.5 × 10⁻⁵ mol이며, 이는 0.000025 mol을 뜻한다.

수산화나트륨 분자량은 40 g/mol로 알려져 있다. 1 mol이 40 g 이라는 기준을 그대로 적용해 2.5 × 10⁻⁵ mol을 질량으로 바꾸면 0.001 g이 된다.

실험실 작업에서 더 자주 사용하는 단위로 바꾸면 1 mg 정도이며, 미량 적정이나 표준화 작업에서 흔히 다루는 수준이다.

결론적으로 0.01 M NaOH 용액 2.5 mL에는 약 0.001 g, 즉 대략 1 mg 정도의 NaOH가 포함되어 있다.

 

예시로 pH 변화량이 1.5라고 치자. 그러면 계산은

0.001 (g 당량) / 0.05 (L) / 1.5 (pH 변화량) = 0.013

 

 

반응형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