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솔레이터 또는 랍스(RABS)의 주변 환경은 오염 전달 위험이 최소화 되도록 보장하여야 한다.

Isolators:
개방형 아이솔레이터의 주변 환경은 일반적으로 최소한 C등급에 해당하여야 한다. 폐쇄형 아이솔레이터의 주변
환경은 최소한 D등급에 해당하여야 한다. 주변 환경의 등급 분류에 대한 결정은 위험 평가에 기반하여야 하며 오
염관리전략에서 그 타당성을 입증해야 한다.
아이솔레이터의 오염관리전략에 대한 위험 평가 수행 시 고려해야 할 주요 사항은 다음을 포함한다(단 이에 국한되
지 않음). 생물 오염제거(bio-decontamination) 프로그램, 자동화의 범위, 중요 공정 포인트의 ‘퍼스트에어’ 보호를
저해할 가능성이 있는 글로브 조작의 영향, 배리어 및 글로브 완전성의 잠재적 손실이 미칠 영향, 사용된 이송 메커
니즘 및 아이솔레이터의 최종 생물 오염제거 전에 문을 열어야 할 수 있는 설치나 유지보수 등의 활동. 추가적인 공
정 위험이 파악되는 경우, 오염관리전략에서 적절하게 타당성이 입증되지 않는 한 더 높은 등급의 주변 환경을 고려
해야 한다.
공기 유입이 없다는 것을 증명하려면 개방형 아이솔레이터의 인터페이스에서 기류패턴시험이 수행되어야 한다.
RABS:
무균공정에 사용되는 랍스의 주변 환경은 최소한 B등급이어야 한다. 또한 기류패턴시험을 수행하여 간섭 중과 문을
열 때(해당 되는 경우) 공기 유입이 없음을 증명해야 한다.
글로브 시스템[랍스(RABS) 및 아이솔레이터 모두]에 사용되는 재질은 적절한 기계적 및 화학적 내성이 있음을 증명하여
야 한 다. 오염관리전략에 글로브 교체 주기를 명시하여야 한다.
| 항목 | RABS (Restricted Access Barrier System) | Isolator |
| 격리 수준 | 제한적이며, 주로 수동 및 자동 소독 방식을 함께 사용한다. | 완전 밀폐되며, 자동 VHP (기화 과산화수소) 등으로 주기적인 바이오소독을 실시한다. |
| 공정 배경 청정도 | 장치 내 ISO 5 구역을 유지하며, 주변 환경은 ISO 7 (B등급) 청정도가 필요하다. | 장치 내 ISO 5를 유지하고, 주변 환경은 **ISO 8 (C등급)**으로도 운영이 가능하다. |
| 공정 모니터링 & 검증 | 수동 소독에 의존하며, 글러브 포트를 통해 작업자의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 압력 감지, 자동 바이오소독, 누수 시험 등 고강도의 자동화된 검증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
| 유연성 | 기존 라인에 retrofit (개조)가 용이하며, 초기 투자 비용이 상대적으로 낮다. | 초기 투자 비용은 높지만, 주변 환경 청정도 등급 하향 조정으로 운영 비용과 에너지 절감 효과가 크다. |
| 사진 | ![]() |
![]() |
'품질관리(Quality Control) > 오염관리전략(C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오염관리전략 필요성 (1) | 2025.11.19 |
|---|---|
| 오염 관리 전략 CCS전략 마련에 참고할 수 있는 템플릿 공유 (1) | 2025.10.29 |
| 바이오 무균의약품 제조 규정 오염관리전략(Contamination Control Strategy, CCS) (0) | 2025.10.28 |
| 오염 관리 전략(Contamination Control Strategy, CCS) 한미약품 예시 (1) | 2025.10.25 |
| 이젠 제약회사 GMP 필수가 되어버린 '오염 관리 전략(CCS)'으로 안전한 품질 관리 실현 가이드라인 공유 (1) | 2025.10.2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