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 품질관리 전문가의 노하우로 완성한 차별화된 경험, 큐씨랩

제약회사 품질관리팀에서 쌓은 경험을 바탕으로 독창적인 브랜딩과 체계적인 품질관리를 통해 기존의 틀을 넘어서는 새로운 커피 문화를 만들어가고 있다.

Why we began this journey... What is identity? 자세히보기

품질관리(Quality Control)/제약

제약회사 품질 관리 및 품질 보증 면접 핵심 문답 (경력자 편) (2/6)

QC LAB 2025. 9. 2. 13:26
728x90
반응형

제약회사 품질 관리 및 품질 보증 경력자 (주임 ~ 대리 급) 면접에서 나올만한 질문과 답변을 정리해 보았다. 총 81개의 질문과 답변을 6번에 걸쳐 포스팅할 예정이다.

제약 품질 경력 면접 질문

품질 관리 및 품질 보증 핵심 문답 (2)

Q9. 특정 제품에 대한 HPLC 컬럼 선정 방법?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 컬럼을 선정하는 것은 분석 방법 개발의 핵심 단계이다. 가장 중요한 고려 사항은 분석 대상 물질의 물리화학적 특성, 즉 극성(Polarity)이다.

  1. 시료의 특성 파악: 먼저 분석하려는 물질이 친수성인지 소수성인지, 이온화되는지 여부 등을 파악해야 한다.
  2. 컬럼 선택:
    • 역상(Reverse-phase) 컬럼: 소수성 시료 분석에 가장 널리 사용된다. C18, C8 컬럼이 대표적이다. 이동상으로 극성 용매(물, 아세토니트릴)를 사용하고, 정지상으로 비극성 물질(C18, C8 알킬기)이 결합된 실리카겔을 사용한다.
    • 정상(Normal-phase) 컬럼: 친수성 시료 분석에 적합하다. 이동상으로 비극성 용매(헥산)를 사용하고, 정지상으로 극성 물질(실리카겔)을 사용한다.
  3. 컬럼 특성 고려: 컬럼의 입자 크기, 기공 크기, 표면적, 탄소 함량 등도 분리 효율에 영향을 미치므로, 분석 목적에 맞는 컬럼을 선택해야 한다. 특히 입자 크기가 작을수록 분리능은 높아지지만, 역압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Q10. C18 컬럼의 구성 성분은?

C18 컬럼은 역상 크로마토그래피에서 가장 흔히 사용되는 컬럼이다.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1. 실리카겔 베이스: 컬럼의 기본 골격은 다공성 실리카겔 입자로 이루어져 있다. 이 실리카겔은 높은 표면적을 가지고 있어, 많은 양의 정지상을 결합시킬 수 있다.
  2. C18 알킬기: 실리카겔 표면의 실라놀기(-Si-OH)에 옥타데실실란(-Si(CH₃)₂C₁₈H₃₇)이라는 비극성 탄화수소 사슬이 화학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이 C18 사슬이 바로 정지상 역할을 하며, 소수성 상호작용을 통해 시료 성분을 분리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3. 엔드 캐핑(End-capping): C18 결합 후에도 남아있는 일부 실라놀기를 불활성화시키기 위해 트리메틸실란(-Si(CH₃)₃)과 같은 작은 실란기와 결합시키는 공정을 거친다. 이는 컬럼의 수명을 연장하고, 염기성 시료의 피크 테일링(Tailing) 현상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준다.

Q11. 유효성 확인, 유효성 확인 계획서, 유효성 확인 종합 계획서란?

  • 유효성 확인(Validation): 특정 공정, 방법, 또는 시스템이 사전에 정해진 기준에 부합하는 결과를 일관성 있게 도출한다는 것을 문서화된 증거를 통해 입증하는 행위이다. 이는 제품의 품질을 보증하고 규제 기관의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 데 필수적이다.
  • 유효성 확인 계획서(Validation Protocol): 유효성 확인을 수행하기 전에 작성되는 공식 문서이다. 여기에는 유효성 확인의 목적, 범위, 책임자, 시험 방법, 합격 기준, 데이터 처리 방법 등이 상세하게 명시된다. 모든 시험은 이 계획서에 따라 진행되어야 한다.
  • 유효성 확인 종합 계획서(Validation Master Plan, VMP): 회사 전체의 모든 유효성 확인 활동을 포괄하는 상위 문서이다. VMP는 어떤 공정, 장비, 시스템을 언제, 어떻게 유효성 확인할 것인지에 대한 전체적인 전략과 우선순위를 제시한다. VMP는 특정 프로젝트가 아닌, 전사적인 유효성 확인의 방향성을 보여준다.

Q12. 공정 유효성 확인이란?

공정 유효성 확인(Process Validation)은 제조 공정이 의도된 대로 일관성 있고 재현성 있게 특정 품질 기준을 충족하는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는 것을 문서화된 증거를 통해 입증하는 것이다. 이는 제조 공정의 초기 설계 단계부터 상업적 생산에 이르기까지 전 주기에 걸쳐 이루어진다.

  • 단계 1: 공정 설계(Process Design): 공정의 특성을 이해하고, 위험 요소를 식별하며, 공정 관리 전략을 개발한다.
  • 단계 2: 공정 자격 확인(Process Qualification): 파일럿 스케일 또는 상업적 규모의 생산 배치를 통해 공정이 의도된 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한다. 일반적으로 최소 3개 이상의 연속적인 상업적 생산 배치를 시험하여 일관성을 증명한다.
  • 단계 3: 지속적인 공정 검증(Continued Process Verification): 상업적 생산이 시작된 후에도 공정이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는지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평가한다.

Q13. 세척 유효성 확인의 허용 한계는?

세척 유효성 확인(Cleaning Validation)의 허용 한계는 다음 생산 배치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장비 표면에 남아있는 이전 제품 또는 세척제 잔류물의 최대 허용량을 설정하는 것이다. 이 한계는 일반적으로 다음 세 가지 기준 중 가장 엄격한 것을 적용한다.

  1. 비주얼 클린(Visual Clean): 장비 표면에 잔류물이 육안으로 보이지 않아야 한다. 이는 가장 기본적인 기준이며, 최소한의 요구 사항이다.
  2. 계산에 근거한 허용 한계:
    • 10ppm 기준: 다음 제품 100만분의 10(10ppm) 이상 오염되지 않아야 한다.
    • NOEL(No Observed Effect Level) 기준: 독성학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인체에 무해한 수준의 최대 잔류량을 설정한다.
    • 1/1,000 기준: 다음 생산 배치 최대 치료 용량의 1/1,000 이상 오염되지 않아야 한다.
    • MACO(Maximum Allowable Carryover) 기준: 이는 허용 가능한 최대 이월량을 의미하며, 이전 제품의 잔류물이 다음 제품의 특정 허용 한계를 초과하지 않도록 계산된다.

Q14. MACO란?

MACO(Maximum Allowable Carryover)는 세척 유효성 확인의 허용 한계를 설정하는 데 사용되는 핵심 개념이다. 이는 한 장비에서 생산된 이전 제품의 잔류물이 다음 제품으로 얼마나 이월될 수 있는지를 계산한 최대 허용량을 의미한다. MACO는 다음 공식을 통해 계산될 수 있다.  이 공식은 이전 제품의 독성, 다음 제품의 일일 복용량, 그리고 배치 크기를 모두 고려하여, 교차 오염이 환자에게 안전한 수준을 넘지 않도록 보장한다.

Q15. NOEL이란?

NOEL(No Observed Effect Level)은 독성학적 연구에서 독성 물질이 생물에게 어떠한 부작용도 일으키지 않는 최대 투여량을 의미한다. 세척 유효성 확인에서는 이 NOEL 값을 기준으로 잔류물의 허용 한계를 설정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환자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제약 산업의 기본 기조를 반영하며, 잔류물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과학적으로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

Q16. 회수율(Recovery Factor)이란?

회수율은 세척 유효성 확인 시 표면 잔류물을 샘플링하는 과정에서, 실제 남아있는 오염 물질의 양 중 얼마나 효과적으로 회수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즉, 시료 채취 방법(예: 면봉 채취, 린스 채취)이 잔류물을 얼마나 잘 닦아낼 수 있는지 그 효율성을 평가한다. 예를 들어, 표준 물질 10μg을 표면에 뿌린 후 면봉으로 닦아내어 9μg을 회수했다면, 회수율은 90%이다. 이는 실제 잔류량을 정확하게 측정하고 허용 한계와 비교하는 데 필수적이다.

Q17. CV에서 면봉(Swab)  채취 시 최소 회수율은?

면봉(Swab) 채취 방법은 세척 유효성 확인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70% 이상의 회수율이 요구된다. 이 기준은 잔류량 측정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함이다. 만약 회수율이 낮다면, 측정된 잔류량이 실제 잔류량보다 현저히 낮게 평가될 수 있으므로, 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충분한 회수율을 입증해야 한다.

Q18. 세제 세척의 허용 기준은?

세제 잔류물도 제품의 품질과 안전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엄격하게 관리된다. 세제 세척의 허용 기준은 일반적으로 세척 후 장비 표면에 남아있는 세제 성분의 잔류량이 MACO 기준이나 독성학적 기준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린스(Rinse) 샘플링을 통해 세제 잔류물이 기준치 이하임을 입증해야 하며, 보통 최종 세척수(Final Rinse Water)의 전도도(Conductivity) 및 pH가 허용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Q19. LOD와 수분 함량의 의미는?

  • 건조 감량(Loss on Drying, LOD): 시료를 특정 조건(온도, 시간)에서 건조시켰을 때 줄어드는 질량의 백분율을 나타낸다. 이는 수분뿐만 아니라 휘발성 물질(알코올, 유기 용매 등)의 함량도 함께 포함하는 개념이다.
  • 수분 함량(Water Content): 시료에 포함된 순수한 물의 양만을 측정하는 것이다. 이는 Karl Fischer(KF) 적정법과 같은 특이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한다.

Q20. LOD와 수분 함량의 차이는?

가장 큰 차이점은 측정하는 물질의 범위이다. LOD는 수분과 휘발성 물질의 총합을 측정하는 반면, 수분 함량은 오직 물의 양만을 측정한다. 따라서 LOD 값은 일반적으로 수분 함량보다 같거나 더 크게 나타난다. 예를 들어, 에탄올을 함유한 원료의 경우, LOD 시험에서는 에탄올의 증발로 인해 질량이 감소하지만, 수분 함량 시험에서는 에탄올이 포함되지 않는다. 따라서 더 정확한 수분 함량을 파악하려면 Karl Fischer 적정법을 사용해야 한다.

Q21. 교정과 유효성 확인의 차이점은?

  • 교정(Calibration): 측정 장비가 정확하고 정밀한 결과를 제공하는지 확인하고, 필요 시 조정하는 행위이다. 이는 표준 물질이나 공인된 기준에 맞춰 장비의 눈금을 맞추는 과정이다. 예를 들어, 저울을 교정하여 10g 표준 분동을 올렸을 때 정확히 10.000g을 나타내도록 조정하는 것이다.
  • 유효성 확인(Validation): 공정, 방법, 시스템 등이 미리 정해진 기준에 맞는 결과를 일관성 있게 도출한다는 것을 입증하는 행위이다. 이는 단순히 장비의 정확도를 확인하는 것을 넘어, 전체 시스템의 신뢰성과 적합성을 확인하는 더 넓은 개념이다.

Q22. 유효성 확인과 성능 적격성 평가의 차이점은?

  • 유효성 확인(Validation): 이전에 설명한 바와 같이, 공정, 방법, 시스템의 적합성을 포괄적으로 입증하는 것이다.
  • 성능 적격성 평가(Qualification): 이는 유효성 확인의 한 부분으로서, 특정 장비나 설비가 의도된 목적에 적합하게 설치, 작동, 그리고 성능을 발휘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일반적으로 IQ(Installation Qualification), OQ(Operational Qualification), PQ(Performance Qualification)의 세 단계로 나뉜다. 예를 들어, HPLC 시스템의 적격성 평가(PQ)는 장비의 정밀도, 직선성, 분리능 등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궁극적으로, 적격성 평가는 유효성 확인을 위한 전제 조건이며, 장비의 유효성을 보장하는 중요한 단계이다.

 

 

 

SINCE 2016 COFFEEPHARM

 

 

 

 

SINCE 2025 QCLAB

 

 

 

 

 

 

 

 

 

2025.06.03 - [COFFEEPHARM QCLAB ] - About Us

 

About Us

커피 한 잔에도 믿음이 필요하다고 느낀 적 있는가. 예쁜 카페, 감성적인 분위기, 고급 원두라는 말은 흔하다. 하지만 정말 이 커피가 어디서, 어떻게 만들어졌고, 내가 마신 이 맛이 다음에 와도

qclab.kr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