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 품질관리 전문가의 노하우로 완성한 차별화된 경험, 큐씨랩

제약회사 품질관리팀에서 쌓은 경험을 바탕으로 독창적인 브랜딩과 체계적인 품질관리를 통해 기존의 틀을 넘어서는 새로운 커피 문화를 만들어가고 있다.

Why we began this journey... What is identity? 자세히보기

품질관리(Quality Control)/커피

커피품질은? 맛과 향을 구성하는 주요 성분, 주요 위험요소

QC LAB 2025. 6. 13. 14:36
728x90
반응형

 

1. 커피 향을 구성하는 주요 성분

커피의 향은 약 800~1,000가지 이상의 화합물이 조합되어 만들어집니다. 주요 성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 피라진(Pyrazines): 구운 땅콩, 견과류, 고소한 향과 연관.
  • 푸라놀(Furanones): 캐러멜, 단맛이 나는 향.
  • 티올(Thiols): 갓 갈린 커피에서 풍기는 강렬한 향. 예: 2-메틸-3-푸란티올(고기 같은 향).
  • 케톤(Ketones)과 알데하이드(Aldehydes): 과일, 꽃, 허브와 같은 다양한 향.
  • 에스터(Esters): 과일 향을 주로 담당.

2. 커피 맛을 구성하는 주요 성분

맛은 단맛, 신맛, 쓴맛, 짠맛, 감칠맛의 조합입니다. 커피의 주요 맛 성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 신맛(Acidity):
    •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s): 밝고 상큼한 신맛. 로스팅 시 분해되어 **퀸산(Quinic Acid)**으로 전환됨.
  • 쓴맛(Bitterness):
    • 카페인(Caffeine): 쓴맛의 주요 원인 중 하나.
    • 로스트 성분(Melanoidins): 로스팅 중 형성되는 갈색 화합물, 쓴맛과 바디감에 기여.
  • 단맛(Sweetness):
    • 당류(Sugars): 로스팅 중 일부가 캐러멜화되어 단맛을 형성.
  • 짠맛(Salinity):
    • 미네랄 함량에 따라 미묘한 짠맛을 느낄 수 있음.
  • 감칠맛(Umami):
    • 글루탐산(Glutamic Acid): 약간의 감칠맛을 제공.

3. 기타 중요한 요소

  • 리피드(Lipids): 커피 오일은 크레마 형성과 입안의 질감에 기여.
  • 단백질 및 아미노산: 로스팅 과정에서 복잡한 향미 화합물을 형성.
  • 산소 함유 화합물: 추출 시 산화 반응으로 인해 다양한 맛과 향을 강화하거나 변화시킴.

 

향신료를 구성하는 향기물질의 조성

 

 

 

  • 🎯 문제점 중심: 커피의 일관되지 않은 맛과 향
  • 🐟 6대 원인 범주:
    • 원두 (Beans): 품종별 성분 차이, 결점두 혼입, 보관 중 산화
    • 로스팅 (Roasting): 과/미달 로스팅, 배치 간 온도 편차
    • 추출 (Brewing): 입자 크기 불균일, 수질 차이, 추출 온도/시간 편차
    • 설비 (Equipment): 머신 오염, 센서 오류, 그라인더 날 마모
    • 사람 (People): 미숙한 조절, 주관적 평가
    • 환경 (Environment): 온습도 편차, 공기 오염물

 

 

 

 

 

 

주요 원인 범주와 상세 위험요소

1. 원두 (Beans)

  • 품종별 성분 차이 (카페인, 산, 오일 등)
  • 결점두 혼입 → 불쾌한 향미 (불완전 발효, 곰팡이냄새 등)
  • 보관 중 산화 → 오일 산패, 향미 저하
    예방 조치:
  • 결점두 기준 정량화
  • 로트별 성분분석 (카페인/산도/수분 함량)
  • 밀폐·저온보관

2. 로스팅 (Roasting)

  • 과도한 로스팅 → 휘발성 향 성분 소실
  • 부족한 로스팅 → 클로로겐산 미분해로 떫은맛
  • 배치 간 온도 편차 → 향미 프로파일 불일치
    예방 조치:
  • PID 제어 및 온도 로깅
  • 휘발성 성분 추적 (예: GC-MS로 피라진류 변화 확인)
  • 색도 측정 (Agtron 등)

3. 분쇄 및 추출 (Grinding & Brewing)

  • 입자 크기 불균일 → 과추출/과소추출
  • 수질(pH, TDS) 편차 → 산도 및 바디감 왜곡
  • 추출 온도/시간 편차 → 쓴맛 과다 발생 (멜라노이딘↑)
    예방 조치:
  • 분쇄입도 측정기 사용
  • 물 성분 정기 분석 (칼슘, 마그네슘, 나트륨)
  • 추출 프로파일 자동화 (Espresso machine, Pour-over 시스템화)

4. 설비 및 기기 (Equipment)

  • 머신 내부 오염 → 금속취, 쓴맛
  • 보일러 온도 센서 오류 → 비일관적 추출
  • 그라인더 날 마모 → 분쇄 효율 저하
    예방 조치:
  • 주기적 장비 세척 및 유지보수 기록
  • 센서 교정 프로그램 운영
  • 사용 시간 기준 예비 부품 교체

5. 사람 (People)

  • 훈련되지 않은 로스터 또는 바리스타 → 미숙한 조절
  • 주관적 감각평가 → 일관성 부족
    예방 조치:
  • QC 판별 기준 매뉴얼화 (SCAA cupping protocol 등)
  • 관능 평가 Calibration 교육
  • Flavor wheel 교육 통한 언어 통일

6. 환경 (Environment)

  • 로스팅실/보관실 온습도 편차 → 향 성분 변화
  • 공기 중 오염물 (VOC) 흡착 → 이취 발생
    예방 조치:
  • 온습도 기록 및 경보 시스템
  • 공조기 및 필터 관리
  • VOC 센서 설치 및 환경 분석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