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 품질관리 전문가의 노하우로 완성한 차별화된 경험, 큐씨랩

제약회사 품질관리팀에서 쌓은 경험을 바탕으로 독창적인 브랜딩과 체계적인 품질관리를 통해 기존의 틀을 넘어서는 새로운 커피 문화를 만들어가고 있다.

Why we began this journey... What is identity? 자세히보기

품질관리(Quality Control)/제약

공정서(시험 규격)에 따라 0.1 M 염산의 몰농도, 노르말농도 구하기 feat. 제약회사 품질관리 버전 (종결)

QC LAB 2025. 8. 29. 11:34
728x90
반응형

제약회사 품질관리 관점에서 0.1 M 염산을 제조하려면, 시험방법의 규격을 확인해야한다. 규격에 따라 조제하는 방법도 다르니 시험원은 공정서에 따라 조제를 진행해야한다. 

 

0.1 M 염산 조제

 

공정서 별 0.1 M 염산 조제 방법 비교(KP vs USP vs EP)

1) 대한민국약전 (KP) 일반시험법에 명시된 제조 방법

염산시액, 0.1 mol/L 1 mol/L 염산시액 100 mL에 물을 넣어 1000 mL로 한다.

염산시액, 1 mol/L 염산 90 mL에 물을 넣어 1000 mL로 한다.

 

2) 미국약전 (USP) 일반시험법에 명시된 제조 방법

0.1 N Hydrochloric Acid VS, Dilute 8.5 mL of hydrochloric acid with water to 1000 mL.

 

3) 유럽약전 (EP) 일반시험법에 명시된 제조 방법

0.1 M Hydrochloric acid. 3002100.
Dilute 100.0 mL of 1 M hydrochloric acid to 1000.0 mL with carbon dioxide-free water R.

1 M Hydrochloric acid. 3001800.
Dilute 103.0 g of hydrochloric acid R to 1000.0 mL with water R.

 

4) 비교 표 정리

약전 조제 방법 비고
대한민국약전 (KP) 1 M 염산 시액 90 mL를 물로 희석하여 1,000 mL로 만든 후, 이 1 M 염산 시액 100 mL를 다시 물로 희석하여 1,000 mL로 만든다. 두 단계에 걸쳐 희석하며, 용량 기준으로 조제한다.
미국약전 (USP) 염산 8.5 mL를 물로 희석하여 1,000 mL로 만든다. 염산 원액을 직접 희석하며, 단순한 희석 방법이다.
유럽약전 (EP) 1 M 염산 103.0 g을 물로 희석하여 1,000 mL로 만든 후, 이 1 M 염산 100.0 mL를 다시 탄산가스가 없는 물로 희석하여 1,000.0 mL로 만든다. 중량(g) 기준으로 1 M 염산을 조제하는 것이 특징이며, 최종 희석에 탄산가스가 없는 물을 사용한다.

 

 

5) 내가 기시법 개발을해서 시액 조제법을 작성한다면(별규),

0.1 N 염산의 조제
35 % 염산 8.8 mL를 1 L 용량플라스크에 넣은 후 HPLC grade 물로 표선한다.

 

 

0.1 N 염산 용액 1000 mL를 만드는 데 필요한 35% 염산의 질량을 단계별로 계산

  1. 필요한 염산(HCl)의 몰수 계산
    • 0.1 N 염산은 0.1 M 염산과 같다.
    • 몰농도(M)는 '몰수(mol) / 부피(L)'로 정의되므로, 필요한 염산의 몰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 따라서 0.1 N 염산 1000 mL에는 0.1 몰의 HCl이 필요하다.
  2. 필요한 염산(HCl)의 질량 계산
    • 화합물의 질량은 '몰수 × 분자량'으로 계산한다.
    • 염산(HCl)의 분자량은 H(1.01) + Cl(35.45) = 36.46 g/mol 이다.
    • 결과적으로 순수한 HCl 3.646 g이 필요하다.
  3. 35% 염산 용액의 질량 계산
    • 우리가 사용하는 염산은 순수 HCl이 아니라 35% 농도의 용액이다.
    • 따라서 0.1 N 염산 1000 mL를 조제하려면 35% 염산 용액 10.417 g이 필요하다.
  4. 약전 기준과의 비교 및 결론
    • 약전에서는 9 mL의 염산을 사용하라고 명시하고 있다.
    • 이는 35% 염산의 밀도(약 1.18 g/mL)를 고려한 부피 환산 값으로 볼 수 있다.
    • 이론적으로 계산된 값(8.828 mL)은 대한민국약전의 9 mL와 비슷한 값을 나타낸다. 

결론

0.1 N 염산 1000 mL를 조제하기 위해 필요한 순수한 염산(HCl)의 질량은 3.646 g이다. 이 질량을 얻기 위해 필요한 35% 염산 용액의 질량은 10.417 g이다. 부피로 환산하면 약 8.83 mL가 되며, 이는 약전에서 제시한 9 mL라는 기준과 매우 유사하지만 다르다.

 

2025.08.26 - [품질관리(Quality Control)/제약] - 대한민국약전 0.5 mol/L 염산 조제 방법 질문에 대한 답변 feat. 제약 품질 노트

 

대한민국약전 0.5 mol/L 염산 조제 방법 질문에 대한 답변 feat. 제약 품질 노트

대한민국약전에 따르면 특정 염산 용액을 만들 때 '염산 45mL를 물에 넣어 1000mL로 한다'고 되어 있다. 하지만 원문의 질문자는 여기서 '염산의 순도가 명확하게 기재되어 있지 않다'는 점에 의문

qclab.kr

 

SINCE 2016 COFFEEPHARM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염산의 농도는 대략 3가지다.

 1) Hydrochloric acid  35~37%

 2) Hydrochloric acid  35%

 3) Hydrochloric acid  37%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염산을 가지고 1 M 염산 만들기

염산의 물리적 특성 

  • 염산(HCl)의 몰 질량: 약 36.46 g/mol
  • 35% 염산: 밀도 약 1.174 g/mL
  • 37% 염산: 밀도 약 1.185 g/mL

35% 염산을 사용한 경우의 몰농도 계산

  1. 사용된 염산의 질량: 염산 90 mL를 사용했으므로, 질량은 부피 × 밀도로 계산한다.
  2. 용액 내 순수 HCl의 질량: 염산 용액의 질량에 농도(35%)를 곱한다.
  3. 순수 HCl의 몰수: HCl의 질량을 몰 질량으로 나눈다.
  4. 최종 몰농도: 제조된 용액의 총 부피는 1000 mL (1 L)이므로, 최종 몰농도는 몰수를 부피로 나눈다.

37% 염산을 사용한 경우의 몰농도 계산

  1. 사용된 염산의 질량:
  2. 용액 내 순수 HCl의 질량:
  3. 순수 HCl의 몰수:
  4. 최종 몰농도:

결론

  • 35% 염산을 사용하면 최종적으로 약 1.014 M의 염산시액이 만들어 진다.
  • 37% 염산을 사용하면 최종적으로 약 1.082 M의 염산시액이 만들어 진다.

 

SINCE 2025 QCLAB

 

 

 

 

 

 

 

 

 

2025.06.03 - [COFFEEPHARM QCLAB ] - About Us

 

About Us

커피 한 잔에도 믿음이 필요하다고 느낀 적 있는가. 예쁜 카페, 감성적인 분위기, 고급 원두라는 말은 흔하다. 하지만 정말 이 커피가 어디서, 어떻게 만들어졌고, 내가 마신 이 맛이 다음에 와도

qclab.kr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