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사제 이물검사 (KP vs USP vs JP)는 요즘 국제조화 때문에 통일하는 분위기지만 아직 대한민국약전 조도 기준은 1000 럭스로 타 공정서와 다른 기준을 갖고 있다.
KP
제 1 법 용액인 주사제 및 쓸 때 녹여 쓰는 주사제의 용제는 용기의 바깥쪽을 깨끗이 닦고 흰색광원 바로 아래 약 1000 럭스 밝기의 위치에서 육안으로 관찰할 때 맑으며 쉽게 검출되는 불용성이물이 없다. 다만 플라스틱제수성주사제용기를 쓴 이 제제에서는 위 및 아래에 흰색광원을 써서 8000 ~ 10000 럭스 밝기의 위치에서 육안으로 관찰한다.
제 2 법 쓸 때 녹여 쓰는 주사제는 용기의 바깥쪽을 깨끗이 닦고 이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충분히 조심하여 첨부한 용제 또는 주사용수를 써서 녹이고 흰색광원 바로 아래 약 1000 럭스 밝기의 위치에서 육안으로 관찰할 때 맑으며 분명히 볼 수 있는 불용성이물이 없다.
JP
Method 1.
This method is applied to either injections in solution, suspension or emulsion, and vehicles for solid injections to be dissolved or suspended before use. Clean the exterior of containers, and inspect against both a white and a black background for 5 seconds each time with the unaided eyes at a position of light intensity of 2000 to 3750 lx under a white light source: Injections or vehicles must be free from readily detectable foreign insoluble matters. As to Injections in plastic containers for aqueous injections, the inspection should be performed with the unaided eyes at a position of light intensity of approximately 8000 to 10,000 lx, with a white light source at appropriate distances above and below the container. The inspection time should be extended accordingly if the inspection is not easy.
USP
Light intensity: The results of the manual inspection process are in¬uenced by the intensity of the light in the inspection zone. In general, increasing the intensity of the light that illuminates the container being inspected will improve inspection performance; chapter 〈790〉recommends that the minimum light levels be not less than 2000–3750 lux at the point of inspection for routine inspection of clear glass containers. This range was chosen to harmonize with current European Pharmacopoeia requirements and is further supported by recent studies performed in Japan as part of a review of the current Japanese Pharmacopoeia requirements. Special attention should be given to ensure that inspection is not performed below the lower limit of 2000 lux. Increased light levels are recommended for translucent plastic containers or those made from amber glass. Under these circumstances, light levels as high as 10,000 lux may prove beneficial. Care should be taken to avoid glare and direct viewing of the light source at these high intensities, as this may result in eye strain and fatigue.
The final qualified inspection conditions of minimum light level will depend on measured performance using visual standards to ensure appropriate particle size detection sensitivity.
수동 육안 검사(MVI)의 핵심 공정 변수(Critical Process Parameters)
1. 조도(Light Intensity)
조도는 MVI의 성능을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조도가 높을수록 이물 검출 성능이 향상되는 경향을 보인다. 바이오의약품 검사를 위해 2,000~3,750 lux 이상의 조도를 권장하며, 2,000 lux 이하에서는 검사 시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갈색 용기나 반투명 플라스틱 용기의 경우, 8,000~10,000 lux의 높은 조도가 요구된다.
조명은 검사 구역 전체에 고르게 확산되어 제품의 식별력을 높여야 한다. 광원으로는 일반적으로 형광등이 사용되는데, 작업원의 눈 피로를 줄이기 위해 고주파 밸러스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백열등 또한 사용되기도 하지만 열 발생으로 인해 제품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LED가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각 검사 구역의 조도는 규정된 범위 내로 설정하고, 연속성과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정기적인 측정이 필수이다. 작업자가 규정된 조도보다 낮은 환경에서 작업하지 않도록 경고 및 조치 수준을 설정하여 관리해야 한다.
2. 배경 및 대비(Background and Contrast)
이물 검출의 핵심은 이물질과 배경 사이의 대비를 극대화하는 것이다. 대비가 클수록 검출률이 현저히 개선된다. 주로 무광의 흑백 배경이 사용되며, 이는 빛 반사를 최소화하여 검출을 용이하게 한다. 두 가지 배경을 모두 사용하면 밝거나 어두운 이물 입자, 또는 용기 결함의 대비를 높여 검출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3. 검사율(Inspection Rate)
정확한 이물 검사를 위해서는 충분한 시간이 필요하다. 용기 한 개당 10초 이상의 유지 시간을 권장하며, 흑백 배경에서 각각 5초씩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용량 용기처럼 이물 검출이 어려운 경우, 유지 시간을 추가로 연장해야 한다. 작업자의 집중력을 방해하지 않는 선에서 표시등이나 신호음을 활용하여 검사 시간을 인지하도록 관리할 수 있다. 또한, 각 제조단위별로 검사 시간을 기록하여 설정된 유지 시간을 준수했는지 확인해야 한다.
4. 용기 취급 및 이동(Container Handling and Movement)
MVI는 용기 내 액체를 회전(Swirl)시키거나 반전(Inversion)하는 행위를 포함한다. 이러한 움직임은 용기 내부 표면이나 마개에 있는 이물질을 띄워 올리는 데 효과적이다. 동시에 기포 발생을 최소화하는 절차를 마련하는 것도 중요하다.
여러 개의 용기를 동시에 검사하는 것이 허용되지만, 한 손에 너무 많은 용기를 쥐는 것은 모든 용기의 표면과 내용물을 완벽하게 확인하기 어렵게 만들기에 지양해야 한다. 용기의 미세한 균열이나 파편(Chips)까지 식별하기 위해 용기를 완전히 회전시키거나 이동시키는 절차가 필수적이다.
5. 확대(Magnification)
일부 검사 공정에서는 대형 확대경을 사용하여 이물 이미지를 확대하기도 한다. 이는 검출확률(PoD, Probability of Detection) 임계값에 근접한 미세한 결함을 찾아낼 확률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그러나 확대는 용기의 특정 부분을 정밀하게 검사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기에 전체적인 검출률을 높이는 방법으로 권장되지는 않는다. 하지만, 이물로 의심되는 사안이 발생했을 때 조사(Investigation)의 한 방법으로 활용 가치가 높다.
대한민국약전(KP)과 미국약전(USP)에서 불용성 이물 검사를 위한 조도(lux) 기준이 다른 이유는 주로 두 가지 배경에서 설명할 수 있다. 첫째는 약전의 제정 철학과 규제 환경의 차이, 둘째는 검사 방식과 장비 표준화의 차이다.
KP는 시각 검사를 기본으로 하며, 작업자가 눈으로 관찰할 때 피로를 최소화하고, 장시간 검사에서 안정적인 정확도를 유지할 수 있는 환경을 우선적으로 고려했다. 1000 lux는 일반 실험실에서 장시간 관찰 시 눈의 피로도를 줄이고 검사자의 주관적 판단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조도로 평가된다. 또한 KP는 국내 의약품 제조 환경을 반영한 조도 범위를 설정했기 때문에, 실험실 표준 조명 조건에 근접한 값이 적용된다.
반면, USP를 포함한 국제 규격에서는 이물 검사를 가능한 한 엄격하고 민감하게 하기 위해 높은 조도를 요구한다. USP <790>과 <1790> 등 관련 규정에서 2000 lux 이상을 권장하는 이유는 작은 이물질까지 더 명확히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특히, 미국 약전은 시각 검사뿐 아니라 광학 장비를 보조적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고, 검사 환경이 작업자의 주관적 요인에 좌우되지 않도록 표준화된 조건을 설정하려는 목적이 크다. 높은 조도는 작은 입자나 반투명 이물질을 확인하는 데 유리하며, 실험실보다 밝은 조건을 적용해 민감도를 높인다. 일부 가이드라인에서는 3750 lux 이상을 권장하는데, 이는 투명 용기의 난반사나 그림자 효과를 줄이면서 미세 입자를 감지하기 위한 수준이다.
결국, KP의 1000 lux는 피로와 효율을 균형 있게 고려한 국내 규격이고, USP는 최대한의 민감도를 확보하려는 국제 표준에 가깝다. 실제 글로벌 GMP 환경에서는 USP 수준의 밝기를 갖춘 별도의 시각 검사 구역을 마련하는 경우가 많으며, 국내 제약사도 수출용 제품이나 글로벌 규격 대응 시 2000 lux 이상으로 맞추는 경우가 있다.
○ USP <1790> Visual Inspection of Injection ○ USP <790> Visual Particulates in Injection ○ Inspection of Injectable Products for Visible Particulates Guidance for Industry (US FDA Draft Guidance) ○ Visual Inspection of Medicinal Products for Parenteral Use(ECA) ○ Particulate Matter Control in Difficult to Inspect Parenterals(PDA) ○ 완제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GMP) 가이던스(식품의약품안전처) ○ 생물학적제제등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GMP) 해설서(식품의약품안전처) ○ 바이오의약품 제조공정 밸리데이션 가이드라인(식품의약품안전처) ○ 바이오의약품 제조업체 데이터완전성 평가 지침(식품의약품안전처) ○ 바이오의약품 제조업체 데이터완전성 지침 관련 질의·답변집(식품의약품안전처)
2025.06.03 - [COFFEEPHARM QCLAB ] - About Us
About Us
커피 한 잔에도 믿음이 필요하다고 느낀 적 있는가. 예쁜 카페, 감성적인 분위기, 고급 원두라는 말은 흔하다. 하지만 정말 이 커피가 어디서, 어떻게 만들어졌고, 내가 마신 이 맛이 다음에 와도
qclab.kr
'품질관리(Quality Control) > 제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약회사 품질 관리 및 품질 보증 면접 핵심 문답 (경력자 편) (1/6) (6) | 2025.09.01 |
---|---|
공정서(시험 규격)에 따라 0.1 M 염산의 몰농도, 노르말농도 구하기 feat. 제약회사 품질관리 버전 (종결) (9) | 2025.08.29 |
정량 분석 시험에서 적정 시험 중 뷰렛 사용법 feat. 제약 품질 노트 (14) | 2025.08.28 |
「대한민국약전, KP」제12개정(제2023-75호, 2023.12.13.) 영문본 파일 공유 (19) | 2025.08.28 |
대한민국약전 0.5 mol/L 염산 조제 방법 질문에 대한 답변 feat. 제약 품질 노트 (11) | 2025.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