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회사 품질관리 출신이 만든 브랜드

QC LAB made by COFFEEPHARM a.k.a. 가배약방

About QC LAB 자세히보기

2025/07 32

커피는 보이는 만큼 달라진다 – 선택을 줄이고 본질에 다가서기까지

처음엔 단순했다. 그냥 카페를 가면 되었다. 맛은 부차적이었다. 집에서 가깝거나, 주차가 쉬운 곳. 혹은 사람이 덜 붐벼서 조용히 앉아 있을 수 있는 곳. 이유는 늘 실용적이었고, 커피는 당연히 따라오는 옵션일 뿐이었다. 그렇게 수많은 카페를 오가며 우리는 무언가를 마셔왔고, 또 무언가를 놓쳐왔다.그런데 커피를 알아가려고 하면서 세상이 조금씩 달라지기 시작했다. 단순히 ‘쓴 맛’ 혹은 ‘달달한 맛’으로 느껴졌던 한 잔이, 알고 보면 수십 가지 변수와 수백 가지 조합이 만들어낸 결과물이었다는 것을 깨달은 순간, 머릿속이 멍해졌다. 공부하면 할수록 드러나는 그 광대한 세계. 그 깊이와 폭에 눌려 잠시 멈추고 싶은 마음마저 들었다. 괜히 전문가가 있는 게 아니라는 것. 괜히 바리스타가 자부심을 가지는 게 아니..

회사에서는 중간만 하자는 마음이었지만 내 꿈에서는 주인공이고 싶다.

회사에 다니는 동안 단 한 번도 만족스럽거나 자랑스럽다는 감정을 가져본 적이 없다.물론 사람들 앞에서는 그럴듯하게 웃고, 무난히 하루하루를 살아내는 척 했지만, 속으로는 늘 뭔가 부족하다고 느꼈다. 그리고 그 '부족함'은 성과 때문도, 돈 때문도 아니었다. 어쩌면 그것은 방향이 다른 삶을 억지로 살고 있다는 감각이었을지도 모른다.'직업에 귀천은 없다'는 말, 틀린 말은 아니다.하지만 막상 현실 앞에 서면, 그 말은 지극히 이상적인 위로로만 들릴 때가 많다.경험상, 학창시절 공부 잘하던 친구들은 나이가 들수록 인정받고, 상대적으로 안정되고 편한 일을 하더라. 어른들이 '공부해라'고 그렇게 말했던 이유를, 난 한참 후에야 알았다. 그것은 단지 시험 성적 하나의 문제가 아니라, 선택지의 폭을 넓히는 유일한 방..

Biochrom Libra S22 분광광도계, 커피팜의 진짜 실무형 장비

Biochrom 사에서 출시한 UV/Vis 분광광도계(UV-Visible Spectrophotometer) Libra S22 모델 이번에 분광광도계를 구입했다. 실무형 커피의 농도를 확인하려고 구입한 기기이다. 컴팩트하지만 강력한 기본기Libra S22는 UV(190~1100nm) 범위까지 지원하는 이중 빔(Double Beam) 분광광도계입니다. 기기 크기는 비교적 소형이지만, 분석 기능은 웬만한 중대형 장비 못지않습니다. 스펙트럼 스캔, DNA/RNA 정량, 시간에 따른 흡광도 변화(Kinetics) 같은 핵심 기능들이 모두 탑재돼 있죠.→ 즉, “작지만 할 건 다 한다”는 실무형 평가를 받을 만한 장비다. 터치스크린 기반 독립형 운영PC에 연결하지 않아도 단독으로 작동 가능합니다. 5.7인치 컬..

향남 백호참치 스페셜코스 내돈내산 리뷰

라운딩 모임 전 스크린을 쳤는데 멤버가 홀인원을 해서 향남 2지구에 위치한 ‘백호참치’ 예약하고 방문했다.입구 벽면엔 큼직하게 박힌 문구가 눈에 띈다.“저희 백호참치에서는 지중해산 참치를 제공합니다.”이 한 줄이 말해주듯, 백호참치는 원산지와 품질에 꽤 확고한 신념이 있는 곳이다. 단지 고급 부위를 나열하는 데 집중하기보다는, 참치 본연의 깊은 맛과 결을 살리는 데 집중하고 있었다. 입구부터 베테랑 쉐프가 직접 해체쇼를 하고있다는 문구도 있다. 자리 잡자마자 정갈하게 스끼다시가 차려졌다. 하지만 이 리뷰의 주인공은 단연 참치회 본 플레이트였다.돌판 위에 곱게 올려진 참치 단면 하나하나가 마치 조각 작품처럼 느껴졌다. 사진으로 담아본 접시는 놀라울 만큼 섬세했다. 각 부위는 다채로운 색감을 지녔고, 꽃 장..

제약회사 품질관리 전문용어는 일반인이 보면 외계어다.

정확히 기억은 나지 않는데 어느 개발자? 연구원? 과천 회사 대화 내용이 이슈가된적이 있었다. 온갖 전문용어 때문에 외계어 같았다. 근데 최근 내가 제약 QC 관련 자료를 찾다가 온라인에 올라온 글을 보고 이전에 봤던 개발자?의 대화내용이 생각나서 소개하려고한다. 일단, 외국계 제약회사 품질관리 부서에서도 이렇게까지는 대화를 안한다. 하지만 근무하다보면 자연스레 전문용어를 사용한다. 예시)COFFEEPHARM님, QCLAB Sample의 Bioburden Test 결과 OOS발생한 건에 대해 Identification 의뢰 해주시고 LIR 작성 부탁드려요.해당 Bioburden이 올해 Recurring으로 많이 발생한 것 같아 걱정입니다. LIR 이후 Deviation으로 Capture될 것 같으니, ..

내가 부족해서인지 설명하면 부정적 반응이 돌아온다. 하소연편ㅜ

커피팜 QC LAB을 처음 지인들에게 설명하면 고개를 갸우뚱하는 반응이 돌아올 때가 많다. 커피에 제약회사 품질관리 시스템을 접목했다는 이야기에, 그게 왜 필요한지 모르겠다는 표정을 짓고, 마이크로피펫 모양의 볼펜 굿즈를 설명하면 웃음을 터뜨리거나 실소를 흘린다. 그런 반응을 마주할 때마다 솔직히 기운이 빠지지만, 나는 이렇게 생각한다. 낯설다는 건 곧 신선하다는 뜻이고, 신선하다는 건 그만큼 아직 누구도 해보지 않은 영역이라는 의미라고 말이다.COFFEEPHARM은 단순히 커피를 파는 공간이 아니다. 이곳은 커피를 맛있는 음료로서 소비하는 데서 그치지 않고, 과학적이고 논리적인 접근을 통해 커피의 품질을 진단하고 개선하는 곳이다. 많은 카페가 분위기나 감성, 혹은 로스팅의 철학으로 자신을 설명하지만, ..

만약에, 커피팜 브랜드 스토리북으로 책을 발간한다면?

「카페 창업, 이렇게 하면 망한다」 – 이경태이건 실용 분야 사례.카페 창업자 블로그에서 실제 겪은 실패담과 운영 노하우를 정리한 콘텐츠를 바탕으로 책이 만들어진 경우야. 제목부터 자극적이지만, 실제 카페 창업 준비자들에게 매우 유용한 실무서로 평가받았고, 출판 이후 강의 요청도 많아졌다고 해. 티스토리 블로그 → 에세이집 출판 사례 다수티스토리 블로거 중 '일상툰'을 올리던 사람이 웹툰이 인기를 끌자, 그걸 묶어 책으로 낸 사례도 많고육아일기, 자취 레시피, 여행기, 반려동물 이야기도 꾸준히 올려서 출판 제안을 받은 사람들도 꽤 있어예를 들어, ‘미국생활 10년 블로그’라는 글을 1천 개 넘게 쓰던 사람이 결국 이민 생활 수기로 출판 계약을 따낸 경우도 있지. 블로그 → 책 출판이 가능한 이유는이미 ..

굳이 비싼 홈페이지 만들 필요 있을까? 블로그에 도메인 연결하면 충분하다.

브랜드를 시작한다면, 무조건 홈페이지부터 만들어야 할까?예전에 필심닷컴을 운영했을 당시에는 디자이너 + 개발자, 도메인, 서버 등등 비용이 엄청 많이 들어갔다. 주변 사람들은 말했다. “홈페이지는 필수야.” “요즘은 다 웹사이트 있어야 해.” “브랜드인데 네이버 블로그만 쓰면 아마추어처럼 보여.” 그 말들, 절반은 맞고 절반은 틀렸다.정답은 따로 있다. 바로 “블로그 + 도메인 연결” 조합이 가장 현실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이라는 것이다. 왜 유료 사이트 대신 블로그인가?초기 비용이 0원홈페이지를 외주로 맡기면 적게는 수십만 원에서 많게는 수백만 원. 관리 유지비까지 포함하면 해마다 큰돈이 들어간다. 반면, 블로그는 무료다. 내가 직접 쓰고, 내가 직접 관리한다.검색 노출 최적화네이버, 다음 블로그는 자..

에펜도르프 마이크로피펫 조정 방법 - 완결편

제대로 맞췄다고 생각했는데도 흡입된 부피가 이상할 때, 당신은 어떻게 하시나요?실험실에서 피펫을 다루는 순간, 수치는 신뢰의 언어입니다. 하지만 가끔, 그 숫자가 나를 배신할 때가 있죠. 분명히 100 μL를 설정했는데, 결과는 기대와 달랐던 적 있으시죠? 그런 순간, 우리는 다시 원점에서 시작해야 합니다. 바로 피펫의 조정(adjustment)이 필요할 때입니다.먼저 확인할 건 하나입니다. 피펫의 ADJ 창에 표시된 숫자가 ‘0’에 정확히 정렬되어 있는가?Figure 5.8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조정이 잘못된 경우 ADJ 창이 ‘0’을 벗어나 있을 수 있습니다. 만약 부피가 제대로 흡입되지 않는다면 단순히 팁을 잘못 장착했거나 피펫의 작동 방법이 틀렸을 수도 있지만, 그게 아니라면 이제 조정(adju..

커피팜은 제약회사 품질관리자가 되고 싶은 이들을 위한 실무 예비학교

커피팜은 제약회사 품질관리를 꿈꾸는 이들에게 묻고 싶다. 너는 유명한 제약회사를 가고 싶은 거니? 아니면 품질관리를 하고 싶은 거니? 수많은 이력서와 자기소개서를 봤다. “좋은 회사에 들어가고 싶어요. 유명한 제약회사에서 품질관리자가 되고 싶어요.”누구나 그런 마음을 품을 수 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 그런 마음도 퇴색된다. 회사의 이름값이 커리어를 만들어줄 것 같지만, 정작 그 안에서 ‘자기 일’을 찾아낸 사람은 많지 않다.품질관리라는 직무는 생각보다 단순하지 않다. 기계를 다루고, 숫자를 확인하고, 규정을 따르는 데서 끝나지 않는다. 모든 공정의 마지막 문을 지키는 사람. 그래서 QC는 회사의 이름값보다 더 큰 책임감을 요구받는다.나는 커피팜을 열었고, 이곳에서 단지 커피를 파는 일에 머무르지 않기..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