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 품질관리 전문가의 노하우로 완성한 차별화된 경험, 큐씨랩

제약회사 품질관리팀에서 쌓은 경험을 바탕으로 독창적인 브랜딩과 체계적인 품질관리를 통해 기존의 틀을 넘어서는 새로운 커피 문화를 만들어가고 있다.

Why we began this journey... What is identity? 자세히보기

품질관리(Quality Control)/제약

GMP 제약회사 품질관리 QC 신입사원 교육 프로그램 SOP

QC LAB 2025. 4. 4. 14:44
반응형
품질관리부서 교육(QC training)은 품질보증, 품질관리 업무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입니다. 품질관리부서의 신입과 경력 사원, 생산, 제조, 연구개발 부서의 담당자 등이 교육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1.   목적 (Purpose)

본 방법서는 각 시험자에게 필요한 교육을 확인하고, 이에 따른 계획을 수립하여 해당 시험자에게 교육을 실시하고 자격을 부여함으로써 교육 대상자가 GMP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는 적합한 시험자임을 보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적용범위 (Scope)                                                    

본 방법서는 품질관리부서의 모든 시험자에게 적용한다.

 

 

3.   책임 및 권한 (Responsibilities)

(1) 품질보증부서책임자는 시험자격대상자가 업무수행에 있어 필요한 모든 기술교육을 받는데 전반적인 책임이 있다.

(2) 품질관리부서장은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 훈련된 시험법 교육자를 선임하여 시험자격대상자에게 교육 및 훈련을 수행하도록 지시하고 교육결과를 평가하여 시험자격을 부여해야 한다.

(3) 시험법 교육자는 시험자격대상자에게 양호한 시험환경 하에서 업무수행에 필요한 모든 시험기술을 교육 및 훈련시켜야 한다.

(4) 시험자격대상자는 시험법 교육자로부터 해당 시험법에 대해 교육 및 훈련을 받아 시험을 수행하여 교육보고서를 작성하여야 하며 시험자격평가에 성실히 임해야 한다.

 

 

4.   용어정의 (Definitions)

(1) 시험자 (Analyst)

시험실에서 실험을 수행하는 시험자 및 보조자를 말한다.

(2) 시험자 자격부여 프로그램

시험자가 실험실에 출입하기 전 시험에 필요한 모든 기술 및 조작을 습득할 수 있도록 교육하고 교육 후 평가를 통해 자격이 부여하는 프로그램을 말한다.

 

 
품질관리부서 교육 내용 
 
  • 품질의 정의, 품질경쟁력 확보
  • 품질경영의 역사와 품질경영체계의 이해
  • 고객만족을 실현하기 위한 고객 요구 조건의 해석
  • 품질보증(QA), 품질표준의 작성과 활용
  • 품질보증(QA)과 품질관리(QC)의 개념 및 품질보증 활동
  • 품질보증을 위한 검사체계
  • 데이터 기반의 지속적 품질 개선 방법
  • 발생한 품질 문제에 대한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응

 

 

 

 

5.   품질관리부서 교육 (QC training)

 

5.1   교육 대상자

(1) 신규 직원: 신입사원, 경력 입사자 및 보직 변경자에 한하여서 시험법교육자는 교육훈련계획서를 작성하여 교육을 실시 하도록 한다.

(2) 기존 직원

① 주기적인 재 교육

 일반적으로 교육 주제별로 1 년에 1 회 실시한다.

② 이상발생에 대한 재 교육

 시험자 실수에 의한 이상발생의 경우에 재발방지 차원에서 재교육을 실시한다.

 

5.2   GMP 기본교육

품질보증부서에 주관하며 GMP교육에 따라 수행한다. 품질관리부서의 직무교육이 포함될 수 있다.

 

5.3   품질관리부서 교육 주제

5.3.1   분야별

(1) 시험기술: 이화학 시험, 기기분석, 생화학시험, 미생물시험, 동물시험

(2) 시험장비

(3) 시험방법 및 절차

(4) 법규 (GMP포함)

(5) 환경, 보건 및 안전

(6) 개인역량계발 (: 팀워크, 의사소통, 창조성 개발)

 

5.3.2   SOP 종류별

(1) SOP작성 및 변경관리

(2) 검체채취, 검체 수령, 시험 및 폐기

(3) 시험법 밸리데이션

(4) 표준품 및 균주 사용 및 관리

(5) 교정

(6) 규격

(7) 시험실시 및 기록 작성 방법: 시험기록서, 기초기록서, 로데이타

(8) 유효숫자 및 반올림 방법

(9) 시약관리 및 취급방법

(10) 보관 검체

(11) 이상발생 또는 기준일탈 조사 (OOS Investigation) 및 조치

(12) 시험장비관리

(13) 시험기구 세척 및 시험실 청소

(14) 시험자 교육

(15) 시험실 안전관리

(16) 안정성시험 관리

(17) 위수탁시험 관리

(18) 시험실 출입 관리

 

5.4   교육 방법

 

5.4.1   방법

(1) 실습교육 (on-the-job)

(2) 개인교육

(3) 강의교육

(4) 자습

5.4.2   교육 도구

(1) 문서교재

(2) 시청각교재 : 동영상, 파워포인트 파일, 인터넷

5.4.3   교육 강사

(1) 사내강사

(2) 실험장비 기술자

(3) 외부강사 : 위수탁시험업체, 정부기관 (식약처 등), 외부교육 프로그램

 

 

 

 

 

6.    시험자 자격부여 절차 (Qualification Procedure)

 

6.1   시험자격대상자의 결정

(1) 품질보증부서책임자는 다음에 해당하는 자를 시험자격대상자로 결정한다.

① 품질관리부서 신규직원

② 기존직원 중 해당 시험에 대한 자격부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자

③ 타 부서직원 중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해당시험에 대한 자격부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자 (공정검사 등)

(2) 품질보증부서책임자는 결정된 시험자격대상자를 품질관리부서장에게 통보하고 해당 시험법에 대한 자격부여를 지시한다.

 

6.2   시험법 교육자의 선임

(1) 품질관리부서장은 해당 시험법을 잘 숙지하고 전문적인 지식이 있는 자를 시험법 교육자로 선임한다.   

(2) 신규시험의 경우 해당시험 담당자가 시험자격대상자가 된다.

 

 

7.   시험법의 교육 및 훈련 (Test Method Training)

(1) 시험법의 교육실시 전에 시험법 교육자는 해당 시험법에 대한 교육(훈련) 계획을 수립하여 품질관리부서장의 승인을 득한다.

(2) 시험법교육자는 시험자격대상자에게 해당 시험법에 대한 내용을 충분히 설명하고 시험법 SOP 등 관련 자료를 통해 시험자격대상자가 해당 시험법을 잘 이해 할 수 있도록 한다.

(3) 시험법교육자는 시험자격대상자의 교육 및 업무태도가 관심을 갖고 적극적으로 참여 하는지 평가하도록 한다.

(4) 시험법교육자는 관련 SOP와 법규를 기본으로 문제를 제시하여 QC교육담당자에게 제출한다.

(5) QC교육담당자는 시험법교육자 및 교육강사에게 받은 문제를 검토하여 시험자 교육 평가질문서를 작성한다.

(6) 시험자 교육평가지를 가지고 일정 기준 이상을 득점을 하는지 평가한다.

(일반적으로 80점 이상으로 득점할 경우 합격으로 인증한다)

점수 등급 설명 인증
90 ~ 100 A 매우 잘 이해하고 있음 합격
80 ~ 89 B 잘 이해하고 있음 합격
0 ~ 79 C 이해하고 있지만, 재교육이 필요함 불합격

(7) 시험자격대상자가 시험법을 충분히 이해 한 후 다음과 같이 해당 시험법에 대하여 3 단계의 교육을 실시한다.

 1 단계 교육

시험법교육자는 시험자격대상자가 보는 앞에서 해당 시험법을 설명하면서 시험을 1회 시험을 수행 하도록 한다.

2 단계 교육

시험법교육자와 시험자격대상자가 동일한 시험을 동시에 1회 수행한다.

3 단계 교육

시험자격대상자는 시험법 교육자가 보는 앞에서 시험법을 설명하면서 1회 시험을 진행하고 동일한 시험을 단독으로 2 회 시험을 수행 한다.

(예를 들어 반복 시험을 실시한 결과 3 회 시험의 시험적합성을 확인 한 후 기존의 시험법 밸리데이션 에서 검증된 정밀도 승인 기준 ±2 % 상대 표준편차 (CV) 이내를 만족 시키는지 확인한다.)

     (8) 시험법 교육자는 3 회 시험이 완료되면 Raw Data 및 결과를 취합하여 시험자 자격 시험 결과 보고서를 작성하여 품질관리부서장 및 품질보증부서 책임자에게 승인을 득한다.

(9) 시험자격대상자는 모든 자격부여 프로그램이 완료되면 교육결과보고서를 작성하여 품질관리부서장에게 보고 및 승인을 받고 해당 시험에 대한 평가를 받는다.

(10) 시험법 밸리데이션 (Method Validation), 시험법 이전 (Method Transfer), 시험법 확인

(Verification)을 수행한 경우에는 시험자 자격부여 교육을 대체할 수 있다.

 

 

 

 

8.   교육 결과 평가 및 시험 자격의 부여 (Assessment and Qualification)

(1) 품질관리부서장은 시험자격대상자의 교육결과보고서를 토대로 시험자격대상자가 시험자격시험을 수행한 결과의 재현성을 확인하고, 해당 시험법에 대한 필기평가 및 시험자격대상자의 관찰 등의 평가를 토대로 시험법의 습득 정도를 평가한다 (1~3. 참고).

 

<1> 이화학 및 생화학시험

No. 평가항목 내용
1 정밀성 적어도 3 회 이상의 반복성시험으로 정밀성을 평가한다.
반복시험을 실시한 결과가 기존의 시험법 밸리데이션에서 검증된 정밀도 승인기준을 만족시킨다.
2 시험자간 비교 동등성을 평가하기 위해 적어도 3회 반복성시험을 요구한다.
검체와 시간은 시험법교육자가 감독한다.
T-test 등 통계방법으로 평가 할 수 있다.

 

<2> 미생물시험

No. 평가항목 내용
1 무균갱의 밸리데이션 3 회 실시한 결과가 기준에 적합해야 한다.
2 미생물 배양 세균, 세포 등 미생물의 발육상태 (생균수, 세포수 등)를 확인한다.
3 시험자간 비교 동등성을 평가하기 위해 적어도 3회 반복성시험을 요구한다.
검체와 시간은 시험법교육자가 감독한다.

 

(2) 품질관리부서장은 평가결과를 교육결과보고서에 기록하고 시험자격대상자가 양호한 평가결

과를 획득하였을 때 해당 시험법에 대한 시험자격을 부여 한다.

(3) 시험자격대상자의 평가가 미흡하면 시험법 교육자에게 재교육을 실시하도록 한다. 재교육이 완료되면 8.(1)항 및 (2)항에 따른다.

(4) 시험자격대상자는 교육결과보고서를 작성하여 품질관리부서장, 품질 보증부서 책임자의 승

인을 득한다.

(5) 시험자격부여에 따른 업무변경은 업무변경절차” SOP에 따른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