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펫 사용에서 마지막 한 방울을 어떻게 다루느냐는 단순한 습관의 문제가 아니라, 설계와 보정 원리에 기반한 과학적 이유가 있다. 피펫은 크게 TD(To Deliver)와 TC(To Contain) 두 가지 방식으로 보정되며, 이 차이가 액체를 끝까지 배출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첫째, TD 피펫은 일정한 부피를 전달하도록 보정된 기구다. 표시된 용량은 중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배출된 액체의 양을 의미하며, 팁에 남는 소량의 잔류액은 제조 단계에서 이미 계산에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마지막 한 방울을 억지로 불어내는 행위는 오히려 설계된 정밀성을 깨뜨리고 예측 불가능한 변동성을 초래한다. 특히 점도, 표면 장력, 용기 형태에 따라 튀거나 달라붙는 양이 미세하게 변하기 때문에 재현성 측면에서 큰 불리함을 준다. 홀 피펫(volumetric pipette)과 대부분의 부피 피펫은 이 범주에 속한다. 이 경우 마지막 한 방울은 그대로 남겨두는 것이 올바른 사용법이다. 즉, blow-out을 하지 않는다.
둘째, TC 피펫은 표시된 부피를 보유하도록 보정된 기구다. 따라서 정확한 전달을 위해서는 내부 액체를 모두 제거해야 하며, 보통 마지막 한 방울까지 불어내거나 세척을 통해 배출한다. 점성이 높은 액체나 잔류가 많은 경우 이 방식이 적용된다.
핵심은 피펫 팁에 남는 한 방울이 단순한 오차가 아니라, 통제된 변수라는 점이다. TD 방식의 피펫은 잔류량을 고려해 보정되었기 때문에, 이를 억지로 제거하면 오히려 실제 전달량이 증가해 부정확한 결과를 초래한다. 반대로 TC 방식에서는 완전 배출이 원칙이다. 이 차이를 이해하지 못하고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하면 실험의 정밀성이 훼손된다.
결론적으로, 홀 피펫은 TD 방식으로 보정된 기구이므로 마지막 한 방울은 남겨두고 blow-out을 하지 않는다. 이는 단순한 규칙이 아니라, 제조사의 보정 철학과 과학적 정밀성을 존중하는 절차다. 실험실에서 피펫을 다루는 올바른 습관은 결과의 재현성과 신뢰성을 보장하는 기본 조건이다.
아래는 TD와 TC 피펫의 특징과 사용법을 명확하게 구분한 표이다.
구분 | 의미 | 보정 기준 | 잔류액 처리 방식 | 예시 |
TD (To Deliver) |
표시된 부피를 전달하도록 설계 | 자연 배출(중력에 의해 흘려보낸 양) | 팁에 남는 소량의 액체는 그대로 둔다. 마지막 한 방울을 불어내지 않는다. | 홀 피펫(Volumetric pipette), 대부분의 부피 피펫 |
TC (To Contain) |
표시된 부피를 보유하도록 설계 | 피펫 내부에 표시된 부피만큼 보유 | 정확한 전달을 위해 마지막 한 방울까지 불어내거나 세척한다. | 일부 특수 피펫, 점성액 측정용 피펫 |
- 홀 피펫(Volumetric pipette)은 TD 방식이므로 마지막 한 방울은 남긴다. (NOT blow-out)
- TC 방식 피펫은 마지막 한 방울까지 제거해야 한다.
홀 피펫(Volumetric pipette)과 매스 피펫(Graduated pipette)은 기본적으로 둘 다 TD 방식으로 보정된다. 즉, 중력 배출만으로 표시된 부피를 전달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마지막 한 방울을 불어내지 않는다. 하지만 구조와 사용 목적에서 차이가 있다.
홀 피펫 (Volumetric pipette)
- 형태: 한 개의 눈금(정확한 부피 표시)만 있음.
- 용도: 매우 정밀한 부피 측정에 사용. 한 가지 용량만 정확히 측정 가능.
- 보정 방식: TD 방식 (To Deliver)
- 사용법: 중력 배출 후 마지막 한 방울은 남긴다. 절대 blow-out 하지 않는다.
- 정밀도: 매우 높음.
매스 피펫 (Graduated pipette)
- 형태: 여러 눈금이 있는 피펫. 다양한 부피 측정 가능.
- 용도: 유연한 부피 조정이 가능하지만, 홀 피펫보다는 정확도가 낮음.
- 보정 방식: 일반적으로 TD 방식 (To Deliver)
- 사용법: 마찬가지로 중력 배출만 하고 blow-out 하지 않는다.
단, 일부 특수 피펫(예: 세로로 파란색 띠가 있는 blow-out 타입)은 제조사 지침에 따라 마지막 한 방울을 불어내기도 한다.
즉, 홀 피펫과 매스 피펫 모두 TC 방식은 거의 없고, 대부분 TD 방식이다. TC 방식은 일반 피펫에서 거의 사용되지 않고, 특정 점성 액체용 특수 기구에서나 볼 수 있다.
왜 뷰렛은 TC가 아닌가?
- 뷰렛은 적정(titration)과 같이 높은 정확성이 필요한 실험에서 사용된다.
- 보정 기준은 액체를 흘려보낸 양이다. 따라서 뷰렛에서 나간 용액이 바로 적정 부피로 계산된다.
- 눈금 기준은 액체가 빠져나간 양이므로, 남은 한두 방울은 계산에 포함되지 않는다.
TC 방식의 실제 예
TC(To Contain)는 피펫이나 뷰렛처럼 전달하는 목적이 아니라 내부에 정확히 그 부피를 담도록 설계된 기구를 의미한다.
TC 기구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주로 사용된다.
- 점성이 높은 액체 측정용 피펫
- 일부 실험용 전용 피펫 (예: 세포 배양액에서 마지막까지 모두 옮겨야 하는 경우)
- 실험실에서 흔히 쓰는 일반 피펫과 뷰렛은 대부분 TD
즉, 뷰렛 = TD 방식, TC는 매우 제한된 특수 용도에서만 사용된다고 보면 된다.
그렇다면 왜 ? 기벽에 액체가 남아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표면 장력이란 무엇인가?
- 액체 표면의 분자들은 외부와 달리 한쪽이 공기와 맞닿아 있기 때문에, 내부로 당기는 인력이 더 크게 작용한다.
- 이로 인해 액체는 표면적을 최소화하려는 경향을 보이며, 이 힘을 표면 장력(surface tension)이라 한다.
- 표면 장력은 액체의 종류에 따라 다르며, 표면 장력이 클수록 액체 분자 간 인력이 강하고, 증발 속도는 느리다.
홀 피펫 기벽에 액체가 남는 이유
- 분자 간 인력
- 액체 분자들은 서로 끌어당기는 힘을 가진다.
- 이 힘 때문에 액체는 방울 형태를 유지하며, 피펫 내부에서 완전히 분리되지 않는다.
- 유리-액체 간 인력
- 유리 표면과 액체 사이에는 부착력(adhesion)이 존재한다.
- 물과 유리는 극성 물질로, 분자 간 인력이 강해 액체가 피펫 기벽에 달라붙는다.
- 메니스커스 현상
- 표면 장력에 의해 액체 표면은 유리 벽을 따라 오르며 오목한 메니스커스를 형성한다.
- 이 현상으로 인해 피펫 끝부분과 벽면에 소량의 액체가 남는다.
홀 피펫에 남는 액체는 단순한 잔류가 아니라, 물리적·화학적 상호작용의 결과다. 표면 장력, 액체-유리 간 인력, 그리고 메니스커스 형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액체가 완전히 떨어지지 않고 일부가 벽에 부착된 상태로 남게 된다.
이 현상은 피펫 제조사가 이미 고려하여 보정했기 때문에, 사용자는 남은 액체를 억지로 제거할 필요가 없다.
2025.06.03 - [COFFEEPHARM QCLAB ] - About Us
About Us
커피 한 잔에도 믿음이 필요하다고 느낀 적 있는가. 예쁜 카페, 감성적인 분위기, 고급 원두라는 말은 흔하다. 하지만 정말 이 커피가 어디서, 어떻게 만들어졌고, 내가 마신 이 맛이 다음에 와도
qclab.kr
2025.07.09 - [COFFEEPHARM QCLAB ] - DIRECTOR TJ - 소개 및 이력
DIRECTOR TJ - 소개 및 이력
ABOUT DIRECTOR TJinfo@coffeepharm.com 제약회사 품질관리(QC) 분야에서 10년 넘게 근무하고있는 전문가이자, 브랜드를 설계하고 스토리를 입히는 콘셉트 메이커다. #브랜딩 #제약품질관리 #커피품질관리 #
qclab.kr
#천안신상카페 #신방동데이트 #천안산책코스 #천안강변카페 #주차 편한 카페 #뷰맛집카페 #천안브런치맛집 #신방동감성카페 #천안카페 추천 #신방동핫플 #천안야외카페 #천안드라이브코스 #천안데이트카페 #천안강뷰카페 #천안야경카페 #천안 추천 카페 #신방동 추천 카페 #천안천카페 #천안신방동카페 #천안랜드마크카페 #천안 추천 #천안주차 편한 곳
'품질관리(Quality Control) > 제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화학적동등성 완충력(Buffer capacity) 시험 상세 해설 완결 feat. 제약품질 노트 (12) | 2025.08.23 |
---|---|
의약품 제조 품질 관리 시험 구분, 원료에서 안정성까지 (7) | 2025.08.23 |
용액 농도 단위 총정리: 몰농도부터 ppm·ppb까지 정확한 활용법 (5) | 2025.08.22 |
제약회사 실험실 초자 관리 Class A 등급 사용 근거 자료 feat. 제약 품질관리 노트 (12) | 2025.08.22 |
엘라이자(ELISA) 원리와 실험 방법: 항원·항체 반응을 활용한 정밀 분석 기법 feat.제약 품질관리 노트 (13) | 2025.08.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