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회사 실험 초자들은 검증이 완료된 초자를 사용해야한다. 그래서 Class A 등급을 사용하고 증명서도 보관해야한다.
추가로 표본 초자도 한개씩 보관해야하며, 무기한 사용하는것이 아닌, 사용기한을 설정해서 지나면 폐기를 진행해야한다.
그래서 초자마다 색깔로 라벨을 부착하는 방식으로 관리를 하고 있다.
실험실에서 사용하는 유리 초자와 A class 기구에 대해 정리된 글을 보면, 주제의식은 명확하다. 동일한 실험이라도 사용하는 도구와 관리 방법에 따라 결과의 신뢰성이 달라진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실험 과정에서 사람의 숙련도나 환경 조건 같은 변수는 피하기 어렵기 때문에, 최소한 기초 도구인 초자 기구는 국제적으로 검증된 규격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글은 바로 그 점을 USP와 Ph.Eur의 규정을 근거로 설명한다.
초자라는 용어는 본래 유리를 뜻하는 한자어에서 비롯되었고, 오늘날 실험실에서는 플라스크, 피펫, 뷰렛, 메스실린더, 시험관, 페트리 디쉬 등 다양한 유리 기구를 포함한다. 이들 도구는 실험자에게 있어 가장 기본적인 장비라 할 수 있으며, 총기를 군인의 기본 장비에 비유한 설명은 직관적으로 이해를 돕는다. 특히 용량 측정과 관련된 초자 기구는 단순한 유리병이 아니라, 실험 결과를 정량적으로 담보해주는 정밀 기구로서 그 중요성이 크다.
이 때문에 국제 기준에서는 Class A 제품의 사용을 원칙으로 한다. 미국약전 USP <31>에서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모든 용량 기구는 Class A 등급을 사용하도록 규정한다. 유럽약전 역시 ISO에서 제정한 Class A 요구 사항을 따르도록 명시하고 있다. 이는 결국 실험의 신뢰성을 담보하기 위한 최소한의 장치라 할 수 있다.
A class 기구를 사용할 때는 단순히 표기만 믿을 것이 아니라, 공급 시 동봉되는 성적서를 반드시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성적서에는 해당 제품이 허용 오차 범위 내에 있음을 검증한 결과가 담겨 있으며, USP에서는 플라스크, 피펫, 뷰렛 등에 대해 허용 오차(limit of error)를 mL 단위와 백분율로 명시하고 있다. 따라서 연구자는 실험 목적에 따라 필요한 정밀도의 기구를 선택할 수 있고, 이 과정을 통해 분석 결과의 재현성과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실험실에서 변수를 줄이고 결과의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A class 초자 기구의 사용 여부를 점검해야 한다. 구매 단계에서 성적서를 확인하고, 사용 단계에서는 기구의 청결과 보관 상태를 유지하는 관리까지 병행되어야 한다. 아무리 뛰어난 기기와 숙련된 실험자가 있어도, 기본 도구의 정밀성이 떨어지면 결과는 왜곡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A class 초자 사용은 실험실 신뢰성 관리의 출발점이라 할 수 있다.
2025.06.03 - [COFFEEPHARM QCLAB ] - About Us
About Us
커피 한 잔에도 믿음이 필요하다고 느낀 적 있는가. 예쁜 카페, 감성적인 분위기, 고급 원두라는 말은 흔하다. 하지만 정말 이 커피가 어디서, 어떻게 만들어졌고, 내가 마신 이 맛이 다음에 와도
qclab.kr
2025.07.09 - [COFFEEPHARM QCLAB ] - DIRECTOR TJ - 소개 및 이력
DIRECTOR TJ - 소개 및 이력
ABOUT DIRECTOR TJinfo@coffeepharm.com 제약회사 품질관리(QC) 분야에서 10년 넘게 근무하고있는 전문가이자, 브랜드를 설계하고 스토리를 입히는 콘셉트 메이커다. #브랜딩 #제약품질관리 #커피품질관리 #
qclab.kr
#천안신상카페 #신방동데이트 #천안산책코스 #천안강변카페 #주차 편한 카페 #뷰맛집카페 #천안브런치맛집 #신방동감성카페 #천안카페 추천 #신방동핫플 #천안야외카페 #천안드라이브코스 #천안데이트카페 #천안강뷰카페 #천안야경카페 #천안 추천 카페 #신방동 추천 카페 #천안천카페 #천안신방동카페 #천안랜드마크카페 #천안 추천 #천안주차 편한 곳
'품질관리(Quality Control) > 제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왜 유리 피펫에는 액체가 남을까? 마지막 한 방울까지 비워야 하는걸까? 정답은... (4) | 2025.08.23 |
---|---|
용액 농도 단위 총정리: 몰농도부터 ppm·ppb까지 정확한 활용법 (5) | 2025.08.22 |
엘라이자(ELISA) 원리와 실험 방법: 항원·항체 반응을 활용한 정밀 분석 기법 feat.제약 품질관리 노트 (13) | 2025.08.21 |
제약회사 품질관리 퇴사 급증 이유 및 QC 직무 특성 현실 (4) | 2025.08.21 |
실험실 초자 세척 방법 근거 자료 USP<1051>Cleaning Glass Apparatus feat.제약 품질관리 노트 (7) | 2025.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