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 품질관리 전문가의 노하우로 완성한 차별화된 경험, 큐씨랩

제약회사 품질관리팀에서 쌓은 경험을 바탕으로 독창적인 브랜딩과 체계적인 품질관리를 통해 기존의 틀을 넘어서는 새로운 커피 문화를 만들어가고 있다.

Why we began this journey... What is identity? 자세히보기

품질관리(Quality Control)/제약

10배 농축 PCR 버퍼 (10x PCR Buffer) 조제 방법 설명

QC LAB 2025. 8. 25. 17:13
728x90
반응형

10배 농축 PCR 버퍼 (10x PCR Buffer) 조제 방법

필요 부피 요약

KCl 1 M: 5.00 mL = 5000 µL
Tris·Cl 1 M: 1.00 mL = 1000 µL
MgCl₂ 1 M: 0.15 mL = 150 µL
Triton X-100 20%: 0.50 mL = 500 µL
물: 3.35 mL = 3350 µL
총합: 10.00 mL

이렇게 조성하면 10×에서의 농도는 KCl 500 mM, Tris·Cl 100 mM, MgCl₂ 15 mM, Triton X-100 1%가 되고, 1:10으로 희석해 1×로 쓰면 각각 50 mM, 10 mM, 1.5 mM, 0.1%가 된다. 이는 전형적인 Taq PCR 버퍼 조성과 일치한다.

 

KCl 10x PCR Buffer

PCR 버퍼 제조, 농도 계산

PCR, 즉 중합효소 연쇄 반응은 현대 분자생물학에서 없어서는 안 될 핵심 기술이다. DNA를 증폭하는 이 과정은 극도로 정밀한 조건과 정확한 시약 조성을 요구한다. PCR의 성공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가 바로 10배 농축 PCR 버퍼의 제조인데, 이때 필요한 각 성분의 양을 정확히 계산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단순한 레시피를 넘어, 그 뒤에 숨어있는 과학적 원리를 이해하는 것은 연구의 신뢰성을 높이는 첫걸음이라 할 수 있다.

이 버퍼를 제조하는 것은 마치 복잡한 요리 레시피를 따라 하는 것과 같다. 재료를 단순히 섞는 것을 넘어, 각 재료의 농도와 부피를 정확히 계산해야만 원하는 최종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희석 공식()**은 이 과정에서 가장 핵심적인 도구이다. 이 공식은 용액의 농도(C)와 부피(V) 사이의 관계를 명확하게 보여주며, 원하는 최종 농도를 얻기 위해 필요한 원액의 양을 정확하게 산출하도록 돕는다.

각 시약별 농도 계산 과정

예시로 제시된 10배 농축 PCR 버퍼는 KCl, Tris.Cl, MgCl2, 그리고 Triton X-100을 포함하고 있으며, 최종 부피는 10 mL이다. 각 성분의 최종 농도와 기존 스톡 용액의 농도를 고려하여, 공식을 적용하면 필요한 원액의 부피를 계산할 수 있다.

1. 염화칼륨 (KCl) 계산

우선, 염화칼륨의 최종 농도는 500 mM, 스톡 용액의 농도는 1000 mM이다. 최종적으로 10 mL의 버퍼를 만들고자 한다면, 공식은 다음과 같이 적용된다.

여기서 을 구하기 위해 식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된다.

계산 식

이 계산을 통해 최종 농도를 맞추기 위해 1 M KCl 스톡 용액 5 mL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과정은 다른 모든 시약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다른 시약들의 부피 계산

  • Tris.Cl: 최종 농도 100 mM을 위해 1 M 스톡 용액 1 mL가 필요하다.
  • MgCl2: 최종 농도 15 mM을 위해 1 M 스톡 용액 0.15 mL, 즉 150 µL가 필요하다.
  • Triton X-100: 최종 농도 1%를 위해 20% 스톡 용액 0.5 mL가 필요하다.

 

시약 총 부피:

최종 부피 10 mL를 맞추기 위해 필요한 물의 양은:

이 계산을 통해 3.35 mL의 물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 이 과정을 통해 10배 농축 PCR 버퍼를 정확한 농도로 만들 수 있다는 걸 알 수 있다.

 

이러한 계산 과정을 거쳐 버퍼를 제조하면 원하는 정확한 농도의 용액을 만들 수 있다. 이는 단순한 실험 과정의 수행을 넘어, 각 단계의 과학적 근거를 명확히 이해하고 있다는 증거가 된다. 정밀한 계산과 정확한 용액 제조는 PCR 실험의 성공률을 높이는 필수적인 조건이다.

 

 

  1. Tris pH: Tris는 온도 민감하다. 최종 사용 온도(보통 실온)에서 pH 8.3~8.8 범위로 맞춘 1 M Tris·HCl 스톡을 쓰는 게 안전하다. 혼합 후 온도 평형을 거친 뒤 필요하면 pH를 미세 조정하고 QS로 10.00 mL를 맞춘다.
  2. Triton 취급: 점성이 높다. 20%는 v/v 기준을 가정한다. 정확도를 위해 500 µL는 양적자 피펫이나 넓은 팁을 쓰고, 용액을 미리 실온으로 두어 점성을 낮춘다.
  3. 혼합 순서: 물 약 2 mL → KCl → Tris → MgCl₂ → Triton → 물로 9.7 mL 근처까지 채우기 → 완전 혼합 → 온도 평형 → 필요 시 pH 확인 → 정확히 10.00 mL로 QS.
  4. 멸균/보관: 0.22 µm 여과 후 소분 보관을 권장한다. –20°C 장기, 4°C 단기. Triton 때문에 장기간 –20°C에서는 약간의 탁도가 생길 수 있으나 녹으면 정상.
  5. 대체 스톡을 쓸 때: 예를 들어 MgCl₂ 0.5 M 스톡이면 필요한 부피는 300 µL가 된다. 일반식 V₁ = C₂V₂ / C₁로 바로 환산하면 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