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선성
검체 중 분석대상물질의 양(또는 농도)에 비례하여 일정 범위 내에 직선적인 측정값을 얻어 낼 수 있는 능력 - 시험방법을 정하는 모든 범위에 대해 직선성을 확인 : 분석대상물질의 농도에 대한 반응의 관계를 증명 - 일반적으로 정량시험 기준 0.998 이상 - 최소 5개 농도 이상으로 3set 이상 실험한다. |
정밀성
균일한 검체로부터 여러 번 채취하여 얻은 검체를 정해진 조건에 따라 측정하였을 때 각각의 측정값들 사이의 근접성(분산정도) - 규정된 범위를 포함한 농도에 대해 적어도 9회 반복하여 측정.(ex) 3농도에서 3회 반복 층정) - 시험농도의 100%에 해당하는 농도로 시험방법의 전 조작을 적어도 6회 반복 측정(기준 농도범위가 비교적 좁은 경우에 실시) 1. 반복성 - 동일 실험실내에서 동일한 시험자가 동일한 장치와 기구,동일제조번호와 시약, 기타 동일 조작 조건하에서 균일한 검체로 부터 얻은 복수의 검체를 짧은 시간차로 반복분석 실험하여 얻은 측정값들 사이의 근접성 2. 실험실 내 정밀성 - 동일 실험실내에서 다른 실험일, 다른 시험자, 다른 기구 또는 장비 등을 이용하여 분석 실험하여 얻은 측정값들 사이의 근접성 3. 실험실 간 정밀성 - 일반적으로 표준화된 시험방법을 사용한 공동연구에 적용됨. 서로 다른 실험실에서 하나의 동일한 검체로 부터 얻은 측정값들 사이의 근접성 |
정확성
측정값이 이미 알고 있는 참값이나 표준값에 근접한 정도 - 최소한 3농도에 대해서 시험방법의 전 조작을 적어도 9회 반복 측정한 결과로부터 평가 - 정량시험 : 분석 농도 80, 100, 120%에서 평균 회수율 98.0~102.0% - 불순물 시험 : 분석 농도(허용기준)의 50, 100, 150%에서 평균 회수율 80~120%로 한다. 정확성은 기지량의 분석대상물질을 첨가한 검체를 정량하는 경우에는 회수율(%)로서 나타내고, 참값과 비교하는 경우에는 평균값과 참값으로 인증된 값과의 차이를 신뢰구간과 함께 기재한다. |
검출한계
검체 중에 존재하는 분석대상물질의 검출 가능한 최소량을 말하며, 반드시 정량가능할 필요는 없다. |
정량한계
적절한 정밀성과 정확성을 가진 정량값으로 표현할 수 있는 검체 중 분석대상물질의 최소량 - 분석대상 물질을 미량으로 함유하는 검체의 정량시험이나 특히 불순물, 분해생성물 결정에 사용되는 정량시험의 밸리데이션 항목 |
밸리데이션+함수.xlsx
0.22MB
밸리데이션+함수_밸리데이션+모의예제.xlsx
0.18MB
의약품등+시험방법+밸리데이션+가이드라인+해설서[민원인안내서] (2).pdf
0.77MB
'제약품질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GMP 제약회사 저울 프린터 DI(Data Integrity) 해결 방안 - 조작 금지편 (0) | 2025.05.13 |
---|---|
제약회사 품질관리 QnA 무수물과 건조물의 차이 종결편 계산까지~ (0) | 2025.05.07 |
GMP CTD 의약품 유연물질 기준 설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0) | 2025.04.23 |
JP INFRARED REFERENCE SPECTRA IR 스펙트럼 참조 (0) | 2025.04.22 |
제약회사 GMP 4대 기준서 종결 (0) | 2025.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