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MP 4대 기준서 ?
제품표준서 / 품질관리기준서 / 제조관리기준서 / 제조위생관리기준서
GMP 인증 심사할 때 꼭 필요한 핵심 문서들이야.
각 기준서는 SOP(표준작업지침서)랑 같이 연결되어 있어야 하고, 문서화랑 기록 관리 시스템이 정말 중요해. 이게 잘 되어 있어야 심사도 잘 통과할 수 있어.
1. 제품표준서
제품 만들 때 실수 없이 일정한 품질로 만들 수 있게 기준을 문서로 정리해 놓은 거야. 품목별로 따로 만들어야 하고, SOP랑 연동돼야 해.
포함돼야 할 내용들:
- 제품명, 제형, 외관 상태
- 허가일자랑 변경된 날짜
- 효능, 용법, 사용 시 주의사항
- 사용되는 원료약 이름, 함량, 제조단위 기준량
- 공정 흐름도랑 상세 제조방법, 검사방법
- 공정별 이론 생산량이랑 수율 기준
- 작업 중 주의사항
- 원자재, 반제품, 완제품의 기준이랑 시험 방법
- 한약 원료 관련 내용 (해당 시)
- 제조/품질관리 시설과 장비
- 보관 조건
- 유효기간 또는 사용기간
- 이력관리 내용
- 작성일
- 제조지시서 (제품번호, 제조번호, 방법 등 포함)
- 그 외 필요한 사항
예시: 비타민C 정제 – 정제 하나에 아스코르빈산 500mg, pH 3.0~4.5, 미생물 기준 적합해야 통과
2. 품질관리기준서
품질관리 제대로 하려고 시험 방법, 결과 평가, 전달 방식 등을 문서로 정리해 놓은 거야.
포함돼야 할 내용들:
- 시험지시서 (제품명, 제조번호, 시험항목 등)
- 검체 채취 방법, 장소, 주의사항
- 시험결과 통보 방법
- 시험기구/시설 점검 방법
- 안정성 시험 관련 내용
- 보관용 검체 관리 방법
- 시약 및 표준품 관리
- 한약 원료 관련 보관 기준
- 위탁 시험 시 검체 전달/판정 방법
- 기타 품질부서 책임자 의무 관련 세부사항
주요 내용: 원자재 검사 기준, 공정 중 시험, 완제품 시험, OOS 처리절차 등
3. 제조관리기준서
제조 전반을 아우르는 기준서야. 기계, 설비, 자재, 보관 방법까지 포함돼.
포함돼야 할 내용들:
- 제조공정 관리: 출입통제, 칭량, 투입, 멸균 등
- 시설/기기 관리: 점검, 고장 시 조치, 교정 방법 등
- 원료약품 관리: 입하 확인, 보관, 혼동방지, 재시험 방법
- 자재 관리: 입하 확인, 반납, 재고관리 등
- 완제품 관리: 출하 승인, 선입선출 등
- 위탁제조 시 공급/운송/기록 평가 방법
- 그 외 제조부서 책임자의 역할 관련 사항
예시: 충전 전 설비 세척 → 배합 온도 75℃ 유지 → 작업기록 서명 필수
4. 제조위생관리기준서
작업 환경이랑 사람의 위생관리 기준이야. 오염이나 교차오염 막기 위해 꼭 필요하지.
포함돼야 할 내용들:
- 작업자 건강관리, 위생 상태 확인/조치
- 손씻기, 소독, 유니폼 착용 등
- 작업실 청소, 소독, 청소 약품/도구
- 작업실 청정도 관리
- 제조시설 세척 계획, 분해/조립 방법
- 해충/쥐 방지 방법과 점검
- 그 외 제조부서 위생관리 관련 세부사항
예시: 청결구역 들어가기 전 손소독 → 유니폼 착용 후 에어샤워 통과
'제약품질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GMP CTD 의약품 유연물질 기준 설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0) | 2025.04.23 |
---|---|
JP INFRARED REFERENCE SPECTRA IR 스펙트럼 참조 (0) | 2025.04.22 |
제약회사 GMP 성적서 CoA 관련 글 (0) | 2025.04.18 |
WATERS Empower HPLC 매뉴얼 공유 (0) | 2025.04.15 |
의약품 금속불순물의 잠재적 기원 GMP STUDY (0) | 2025.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