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도가 중요한 이유:맛의 균형:밀도는 커피의 다양한 성분이 물에 얼마나 잘 녹아들게 되는지를 결정합니다. 적절한 밀도는 커피의 신맛, 단맛, 바디감 등 다양한 맛의 요소들을 조화롭게 만들어 줍니다.크레마 형성:에스프레소 상부에 나타나는 크레마는 커피의 맛과 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적절한 밀도는 크레마가 풍성하고 안정적으로 형성되도록 도와 줍니다.커피의 풍미:밀도가 적절하면 커피의 본연적인 풍미와 향을 잘 느낄 수 있습니다. 밀도가 너무 높거나 낮으면 커피의 특정 맛이나 향이 과도하게 강조되거나 사라질 수 있습니다. 에스프레소 밀도를 조절하는 방법:분쇄도:원두를 분쇄할 때 너무 곱게 갈면 밀도가 높아지고, 너무 굵게 갈면 밀도가 낮아집니다.탬핑:탬핑은 분쇄된 원두를 밀착시키는 과정으로, 탬핑 ..
에스프레소의 특성은? 에스프레소는 가용성 고형성분 및 불용성 커피 오일이 추출되어 추출액에 함유되어 있어 이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추출된 커피나 순수한 물과 비교했을 때 특성들이 다른 차이를 보이게 된다. 밀도 (Density)에스프레소 밀도는 대충 1.02 정도야. 순수한 물이 1.0인데 거의 비슷하지. 그 이유는 에스프레소 안에 있는 오일이 물보다 밀도가 낮아서 전체 밀도를 낮추기 때문이야.점도 (Viscosity)에스프레소는 바디감이 있어서 점도가 물보다 훨씬 높아. 물의 점도는 30℃에서 0.61(mPa·s)이야. 근데 에스프레소는 바디감에 따라 Low-body는 1.51, High-body는 2.01까지 올라가.굴절률 (Refractive index)빛이 물질을 통과하면 속도가 달라지면서 꺾이잖..
QbD 시스템?설계기반 품질고도화란 과학적 접근법과 품질위험관리에 근거하여 제품 및 공정에 대한 이해와 공정관리를 강조하는 체계적인 접근법이다. QbD는 현재 제약회사에도 적용하기 힘들다.. 그만큼.. 어렵고 힘들다.. 국내 제약사들은 의약품 설계기반 품질고도화(QbD, Quality by Design) 도입과 적용 필요성에 대체적으로 공감하지만, 여전히 10곳 중 약 6곳은 한번도 적용한 경험이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이 같은 사실은 국회예산정책처가 최근 공개한 '2022회계연도 결산 위원회별 분석' 보고서를 통해 확인됐다.1일 관련 보고서를 보면,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의약품 제조 및 품질 관리 체계 고도화를 통해 국내 제약산업의 산업경쟁력을 강화하고, 맞춤형 지원으로 국내 개발의약품의 신속한 제품화 ..
커피는 전 세계인들이 물 다음으로 많이 마시는 음료로, 전 세계 인구의 2/3가 커피를 마시고 있다(1). 세계 커피무역 에서 커피는 주로 커피를 볶은 전 상태인 생두(green been) 로 거래가 되며, 수입국에서 생두를 볶아 원두커피(roasted coffee)로 제조하게 된다. 커피의 생두는 탄수화물 (37~60%), 지방(9~18%), 단백질(11~13%), 수분(10~13%), 무기질(3.0~4.5%)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외에 카페인 (caffeine)과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이 중요한 성분으 로 알려져 있다(2).커피 생두는 커피 고유의 향미를 느낄 수 없으며, 배전 (roasting)과정을 거쳐 커피 고유의 향미를 갖게 되기 때문에 배전 과정은 중요한 공정이라고 할 ..
서 론커피의 품질은 커피를 볶은 후의 화학물질의 구성과 밀접하게 관련이 되어 있으며, 이러한 화학물질들은 생두를 재배하는 과정과 재배 후 가공하는 과정(건조, 저장, 볶기, 분쇄)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된다. 커피 생두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일반적인 기준은 생두의 크기, 색깔, 모양, 처리과정, 수확년도, 향기와 관능 그리고 결점두의 함량이다(Banks 등 1999). 아라비카 생두의 등급은 뉴욕상품거래소(NYBOT, New York Board of Trade)에서 생두 300 g 내에 들어있는 결점두의 갯수로 평가를 하고 있으며, 결점두는 ‘부패생두판별 기준법(black bean count basis)’에 의해 평가를 하게 된다(Franca 등 2005). 그러나 결점두가 커피의 향미에 부정적..
커피 품질관리 분석기기들... 이거 다 있을려면 분석회사 차리지 ㅋㅋㅋㅋㅋㅋ 1. HPLC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용도: 커피에 포함된 화학 성분 (예: 카페인, 클로로겐산 등)을 분석할 때 사용됩니다.추천 브랜드: Agilent, Shimadzu, Waters특징: 커피의 품질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성분들을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커피의 카페인 농도나 항산화물질, 산도 등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2. GC-MS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석기용도: 커피의 휘발성 향기 성분을 분석하는 데 사용됩니다. 커피의 향기와 관련된 화학 물질을 측..
커피 품질관리를 위해 가장 많이 알려진건 굴절률 TDS다. 검색해보니 VST 핸드 굴절계가 가장 좋은 기기로 알려진듯하다.하지만 제약회사 실험실에서 사용하는 브랜드는 다르다. 유명 기기들은 2~3가지 정도 되는듯 해. 내가 구매한다면 그래도 실험실에서 사용하는 굴절계를 구매해야지. 그래도 실험실인데! 굴절률은 매일 사용하는 기기가 아니다보니.. 고장이 잘안나는 기기? 이다. 사용법도 엄청 간단하다. 물 넣고 찍으면 끝! 커피팜 품질관리 실험실 셋팅을 위해 하나 둘 분석기기를 구매하고 있다. 현미경... pH 미터기.. 구매 완료! 그다음... 굴절계다. 신품으로 구매하려면 몇 천만원이 들겠지만. 내가 10년 넘게 실험실 품질관리 근무를 하다보니 어떤 브랜드가 좋고 나쁜지가 구분이 간다. 그리고 너무 좋은..
커피의 농도(TDS)를 측정할 때는 굴절계를 사용하는 반면, 물의 TDS를 측정할 때는 전기 전도도 측정기를 사용합니다. 이 차이는 두 가지 중요한 이유와 관련이 있습니다1. 물 속의 TDS 성분 차이물의 TDS는 미네랄, 이온 성분(칼슘, 마그네슘, 나트륨, 염화물 등)으로 구성됩니다.이온은 전하(전기적 성질)를 띠기 때문에, 전기가 잘 통하는 성질이 있습니다.전기 전도도는 물 속의 이온 농도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이온이 많을수록 전기가 잘 통하고, 전기 전도도 값이 높아집니다.따라서 전기 전도도 측정기를 통해 물 속의 TDS 농도를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2. 물의 굴절률 변화가 미미함물은 일반적으로 순도 높은 액체입니다. TDS 값이 높더라도 그 대부분은 이온화된 미네랄 성분이며, 물..